도서관에 가지마, 절대로 내친구 작은거인 15
이오인 콜퍼 지음, 토니 로스 그림, 이윤선 옮김 / 국민서관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읽기를 싫어하던 형제가 여름방학 동안 어쩔 수 없이 도서관에 다니게 되면서 책의 재미에 빠져 들게 되는 이야기를 익살스럽고 재기 넘치게 그린 동화. 도서관에 절대로 가지 말라니, 도대체 그 곳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 것일까? 표지에 무시무시한 실루엣 이미지로 모습을 드러낸 '감자 총' 선생님이라는 독특한 캐릭터가 아이들의 흥미를 끄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아르테미스 파울>의 저자인 이오인 콜퍼가 글을 썼으며 말썽대장 헨리 시리즈의 그림을 그린 토니 로스가 삽화를 맡았다.

  "너, 이 책 읽지 마, 절대로~."
 책 읽기를 무척 좋아하지만 엄마가 책을 주며 재미있다고 읽어보라고 하면 일단 한 두번쯤은 꼭 튕기는(?) 큰 아이. 결국은 재미있게 읽을 거면서 뒤로 빼는 것이 얄미워 저런 식으로 퉁박을 놓게 되는데, 읽으라고 주면 싫다가도 막상 읽지 말라고 하면 또 보고 싶어지는 심리가 작용하는 모양이다. 몇 장 읽기 시작하다 보면 결국 그 책의 재미에 빠져들고 책가방 무겁다고 들고 가지 말라고 하는데도 기어이 학교에 가져가서 읽고 오곤 한다. 그걸 알고 있으면서도 아이에게 종종 저 말을 외쳐대는 것을 보면 나도 어지간히 짓궂은 엄마인가 보다. ^^*

 역설적인 느낌을 풍기는 <도서관에 가지마, 절대로>는 아이들의 장난이 버거워진 부모님은 여름방학 동안 두 아이-윌과 마티 형-가 할 교육적인 일로 도서관에서 책 읽기를 선택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왕성한 활동력을 자랑하는 아이들에게 소리도 치지 말고, 소란스럽게 나대지도 말고 가만히 있으라는 건 일종의 고문일 것이다. 도서관이라는 공간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말도 작고 간결하게 해야 하고, 부스럭거리는 소리도 가급적이면 내지 말아야 하고, 뛰어다녀서도 안 되는 등 제약이 많은 곳이다. 

   가끔 '우리 애는 책을 안 읽으려고 한다'는 말을 듣곤 하는데 그건 그 아이들이 재미있는 책을 만나지 못해서일까? 큰 아이를 보면 동생과 재미있게 놀다가도 잠시 쉬기 위해 책을 잡는 순간 놀던 것도 잊어버리고, 동생이 삐치거나 말거나 책 속으로 빠져들곤 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제목에 호기심이 동해서 이 책을 읽은 작은 아이도 책을 보는 중에 내가 그만 잠자리라고 하면 "조금만 더 보구요. 제발요~"하며 사정을 하곤 하는데, 이처럼 아이들도 읽는 즐거움에 빠져들면 놀이도, 잠도, 밥도 뒷전이 되어버릴 것이다. 책 읽기를 싫어하던 형제가 소설책까지 탐내게 된다는 이 이야기가 아직은 책이 재미없다는 아이들에게 책 읽는 재미에 빠져드는 계기가 되어주기를!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12-30 1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들이 책읽기에 빠져들게되는건 같이 시간을 보내는 사람의 몫이 크다고 봐요.
님께서 독서를 좋아하시니 아영이와 혜영이도 책읽기를 좋아하는거구요.
잘 읽었어요.
주말 잘 보내세요.

짱꿀라 2006-12-31 0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서평단에 뽑혀서 이 책 오기는 왔는데 아직 읽지를 못해서요. 내년 1월 1일에 읽으려고 하는데 먼저 아영엄마님의 글을 읽고 가네요.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아영엄마 2006-12-31 1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승연님/아무래도 아이들이 부모의 모습에서 영향을 받겠지요? 다른 건 좋은 본을 못 보이는데 책보는 모습이라고 꾸준히 보여줄랍니다. ^^*
산타님/그럼 이제 내일이면 읽으시겠네요. 님의 글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