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번째 딸 가논
쓰지 히토나리 지음, 박영난 옮김 / 북스토리 / 2002년 10월
평점 :
절판


영화로도 나온 냉정과 열정사이를 읽고 나서 쓰지 히토나리란 작가에 대해 알게되었습니다. 원래 한 작가의 책을 읽고 나면 그 작가의 다른 책들도 찾아 읽는 습관이 있어 이 책도 읽게 되었습니다.

먼저 책은 아주 재미있었습니다. 고독을 사랑하는 핵가족 출신의 주인공이 어쩌다 대가족 출신의 여자(가논)에게 데릴사위로 장가가게 되면서 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 대가족제도에 대해 나름대로 해부해 보기로 결심합니다. 각 장이 대가족에서나 벌어짐직한 각가지 에피소드로 채워지기 때문에 남의 사생활을 들여다보듯 흥미진진한데다 각 장의 시작에 가족제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까지 짧게나마 소개되고 있어 대가족제도에 대한 이론과 실제를 정리했다는 느낌마저 듭니다.

하지만 유쾌하게 읽고 난 후 뭔가 부족하다는 느낌도 듭니다. 모두 경험하다시피 가족이란 매우 이율배반적인 모습을 띠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울타리가 되기도 하지만 극복해야할 과제가 되기도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재일작가 유미리가 보여준 가족에 대한 애증이 맘에 듭니다. 히토나리의 가벼운 서술도 좋지만, 역시 가족이란건 그렇게 가볍게 다룰 수 있는 주제는 아닌 것 같습니다. 그는 작가로서의 전문적인 활동에 가족이 장애물이 된다는 것을 분명하게 서술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가족의 강한 결합도 무시할 수 없다는 식으로, 개인의 중요성을 가족이라는 집단의 중요성 속에 어물쩡 묻어버립니다(매우 프로페셔널했던 그녀의 아내도 임신과 함께 자신의 직업을 쉽게 포기합니다). 그러나 개인의 삶은 그렇게 어물쩡 넘어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그러기에 책을 다 읽고 나서도 개인과 가족사이의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는 그대로 남습니다.

핵가족제도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요즘, 전통적인 대가족의 모습을 통해 대가족제도도 역시 그 만의 장점을 갖고 있음을 보여주려는 작가의 시도는 매우 신선합니다. 그러나 이미 개인의 자유가 우선시 되는 시대의 흐름 역시 거스르기에는 이미 너무 거세보입니다. 책을 읽으면서 내내 난 이렇게는 못산다 생각했으니까요. 대가족의 장점도 물론 크겠지만, 난 그 장점을 포기하더라도 자유롭게 살고 싶습니다.

끝으로, 책의 내용이 히토나리의 전처의 가족 얘기라도 하던데, 그가 그녀와 헤어졌다면 역시 고독을 사랑하는 작가는 대가족제도에서 살아남지 못한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소설에서는 결국 대가족제도 안에서의 해피엔딩으로 끝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