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마중 겨레아동문학선집 1
방정환 외 지음, 겨레아동문학연구회 엮음 / 보리 / 199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는 여러 작품이 있지만 이태준님의 <엄마마중>에 대한 감상을 올립니다.

이 동화는 한 편의 시 같습니다.

이제 겨우 말이나 할 줄 아는 아주 작은 꼬마가 수 십 년을 거슬러 올라간 근대의 거리의 풍경 속에서 엄마 마중 나오는 그림이 저절로 그려집니다. 이야기 서두에서부터 날씨는 얼마나 매서운지 아가의 코끝이 빨갛다고 읽는 이의 모성(또는 부성)을 단번에 끌어당깁니다. '쯧쯧 가여워라, 날도 찬데 엄마는 어디 가셨을까?" 하며 애정 어린 시선으로 철없이 아장아장 걷는 꼬마 뒤를 독자들은 부랴부랴 따라 나섭니다.


그렇다고 아가가 불쌍하리만큼 가엽기만 한 건 아닙니다. 애처롭긴 하지만 하는 모양이 기특해서 여간 귀여운 게 아닙니다. 전차 차장에게 또박또박 제 할 말은 다 하는 것 좀 보세요. 바쁘고 험난한 세상살이는 엄마를 기다리는 아기의 마음은 안중에도 없이 “너희 엄마를 내가 아니?”하고 퉁명스럽게 쏘아붙이고 떠나버립니다. 그 중에 단 한 사람의 차장이 아기를 걱정해 줍니다.


저는 단 두 줄로 끝을 짓는 마지막 장면에서 오랫동안 눈을 떼지 못합니다.

여전히 찬바람은 불고 있고, 전차는 소란스럽게 왔다가길 반복하고, 그 속에 코가 새빨간 우리 아기가 거기 서 있습니다. 아! 어쩌려구! 저렇게 어린 아기를 기다리게 해 놓고 엄마는 왜 아직 안 오시는 걸까. 아기는 얼마 추울까, 속으로 울진 않을까......


우리는 이제 엄마가 속히 와서 꽁꽁 얼어 있는 아기 볼도 어루만져 주고 안아도 주고 업어도 주며 포근한 집으로 빨리 들어가길 간절히 바라는 심정이 되고 맙니다. 엄마가 오기만 오면 추운데서 오랫동안 떨며 기다린 아기의 서러움이야 흔적도 없이 지워지고 말텐데요......


그러나 아무리 책을 펼쳐 놓고 기다려도 엄마는 아직 등장하지 않습니다. 내가 아기의 옆집 아줌마라면 달래서 업고 들어오고 싶어도 작가는 단호하게 코가 새빨간 채로 엄마만 기다리는 아기에게 스포트라이트를 비추며 점점 줌 아웃시키는 감독처럼 이야기를 마무리 짓고 맙니다.


이야기는 거기까지만 해야 아름답습니다. 이야기는 허구지만 또한 진실입니다. 우리는 역사를 통해 이 이야기가 발표 된지 7 년 만에 해방이 된다는 걸 알지만, 당시엔 그 날을 미리 알 순 없었겠지요. 독립을 기다리는 애처로운 조선백성이 아기라면, 엄마는 독립된 조선이 아닐까요? 엄마도 아기가 보고 싶겠지만 아직은 오시지 못한다는 걸 이야기 끝에서 보여줍니다. 그런 엄마를 기다리는 아기는 아직 어리고 약하디 약한 아기라서 엄마 마중하는 것이 춥고 힘들지만 엄마가 오신다는 확실한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믿음이 있기에 아기는 저물도록 엄마가 오실 때까지 꿋꿋하게 기다릴 수 있겠지요.


식민지 치하의 다른 동화작가들도 아이들에게 희망을 안겨 주는 작품을 많이 썼지만 이 태준님의 독립에 대한 염원과 소망이 잘 드러나 짧은 이야기지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 줍니다. 그리고 이 이야기를 독립과 빗대지 않고 순수하게 엄마를 기다리는 아기의 모습으로만  봐도 얼마나 사랑스럽고 아름다운가요? 만약에 이 장면의 삽화를 엄마가 돌아와서 좋아라 손잡고 돌아가는 그림으로 그렸다면 “휴~”하고 마음은 놓일 런지 모르지만 이 글이 주는 가슴이 찡하도록 아름다움은 사그라졌을 것입니다. 만난 후의 기쁨도 좋지만 사랑하는 사람을 기다리는 그 순간도 너무나 귀중하고 아름답습니다. 기다림이 없었다면 만날 수 없었고, 기다리면서 갈망한 만큼 만난 후의 기쁨이 더 배가되니까요. 수 십 년의 세월이 흘러도 이 동화가 사랑받는 이유가 바로 그것인 것 같습니다. 엄마를 기다리는 지고지순한 아기의 기다림이 주는 아름답고 가슴 찡한 감동 말이에요!

 

-050906ㅂㅊㅁ


댓글(8)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주 2005-09-06 13: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설마, 제 글을 보고 다른 어떤 출판사의 그림 그린 분이 제게 연락하는 일은 없겠지요?
서재를 돌아다니다 보니, 다른 어떤 출판사의 책에서는 삽화에 엄마와 아기가 손잡고 가는 모습을 조그맣게 그려놨다고 해서요. 엄마가 오기를 간절히 고대하는 상상으로 간주한다고 해도 독자에게 상상 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해 주지 않은 것이 저는 좀 맘에 안 들어서 내친김에 리뷰까지 쓰게 되었습니다.

거기에서도 코멘트로 남겼지만, 작가가 원본에서 선을 그은 만큼만 그림을 그려야 호흡이 맞지 않을까 하는 나름대로 생각해 봅니다. <잘 먹고 잘 살았더라>라고 결론을 다 내려 준다면 이야기가 얼마나 싱거워 지나요?

이 동화는 무척 짧아서 원문을 밑줄긋기에 다 올려 볼게요.
이 책엔 <엄마마중>외에도 아주아주 좋은 동화들이 많이 있어요.

icaru 2005-09-06 14: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체가 엄마마중이란 내용하고 멋진 조화를 이루는 것 같아요...
앙징맞은 아가같은 서체~

님께서 이 리뷰 쓰신 이유(원전에 없는 내용을 조그맣게 그려넣어, 독자에게 상상 할 수 있도록 배려를 해 주지 않은 것)가 독특해서...한참 봤어요~ 크흣...

진주 2005-09-06 14: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돋움체 좋아하걸랑요? 글씨는 또렷하고 여백이 좀 더 많잖아요. 글씨가 빡빠거리하게 들어가면 왠지 답답...^^;)

아..그리고..
제가 이 책을 참 좋아해서 애정을 갖고 감상 썼습니다.

2005-09-06 14: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5-09-06 16: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진주 2005-09-06 17: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게만 보이시는 님, 헤헤 그러니까 내말이 그말이지라요. 아주 작든 아주 깨알이든....걍 나두지 않고서는...쯧.....(저 고집 세죠?....작가의 입장에선 어떨까 하며 생각해 본 거거든요. 나라면..내가 언급했던 부분까지만 그림으로 그려 주길 바랄거에요. 이태준님은 이미 세상에 안 계시니 그림 그리는 사람이 상의도 못했겠죠..?)

진주 2005-09-06 16: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게만 보이시는09-06 14:45님, 아하! 저도 그래요^^ 무지 반갑구만요~

울보 2005-09-06 17: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