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식시장 바로미터 ㅣ 굿모닝북스 투자의 고전 8
윌리엄 피터 해밀턴 지음, 박정태 옮김 / 굿모닝북스 / 2008년 4월
평점 :

"가치와 평균주가
이제 무슨 말인지 눈치챘을 것이다. 러셀 세이지는 철저히 가치에 입각해서 거래했다. 그는 반드시 가치를 알아내고자 했다. 그랬기 때문에 그가 죽었을 때 7000만 달러라는 재산을 남길 수 있었다. 주식시장 바로미터는 현재와 미래의 가치를 보여준다. 장기적인 주가흐름에서 주가가 진정한 가치보다 낮은지, 아니면 그 이상인지를 판단하려면 시장 바로미터를 제대로 읽어내야 한다. "
주식 시장 바로미터
주식시장 바로미터는 개별 종목의 주가가 아닌, 전체 종목들의 가중 평균 값에 주목합니다. 흔히 말하는 '지수'를 말하지요. 주식 시장 바로미터는 이 지수의 움직임을 통해서 향후 시장의 대세 상승 혹은 대세 하락 같은 것들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물론, 100% 확신할 수는 없지만, 높은 확률로 볼 수 있다는 것이지요.
'다우 이론'과 쌍둥이 형제와 같은 도서라고 할 수 있는데요. 증권 분석같은 도서처럼 개념화 해서 설명하기 보다는 칼럼 식으로 서술되고 있는 도서라 대략적인 내용은 얼추 알겠지만, 사실 정확히 주장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답니다...
다우이론
이 책에서 바로미터로 삼고 있는 지수는 바로 '다우 지수'입니다. 다우 이론에서 이야기된 지수로 현재도 거래되고 있답니다. 100년도 더 된 정말 오래된 지수이지요. 지금도 주식의 경기 선행성을 볼 떄, 주가지수를 참고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지금도 적용되고 있는 이론이라고 할 수 있지요.
이 도서를 읽으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문구는 이런 문구였습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시점을 분산한다고, 시점을 나누어서 주식을 매수하는데, 이는 종목에 대한 가치평가가 안 되어 있기 때문이다. 가치 평가가 끝나있다면, 가치보다 낮으면 사는 거지 무엇하러 시점을 분산하는가? 였습니다.
뭐.. 판단은 읽으신 분들에게 맡겨두겠습니다 ㅋㅋ
굿모닝 북스의 투자 고전 '주식시장 바로미터' 였습니다 ~
주식시장 바로미터 기억에 남는 문구들
가치와 평균주가
이제 무슨 말인지 눈치챘을 것이다. 러셀 세이지는 철저히 가치에 입각해서 거래했다. 그는 반드시 가치를 알아내고자 했다. 그랬기 때문에 그가 죽었을 때 7000만 달러라는 재산을 남길 수 있었다. 주식시장 바로미터는 현재와 미래의 가치를 보여준다. 장기적인 주가흐름에서 주가가 진정한 가치보다 낮은지, 아니면 그 이상인지를 판단하려면 시장 바로미터를 제대로 읽어내야 한다.
주식 투기자의 추론
프로 투기자들이 남들이 갖지 못한 우월한 조건을 갖고 있다는 전제는 전혀 근거 없는 것이다. 제시 리버모어 같은 프로 투기자들이 도출해 내는 추론은 이 책에서 제시한, 그리고 앞서 내가 신문 칼럼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주식시장이 처해있는 전반적인 상황을 연구한 결과 나온 것이다. 제시 리버모어는 1921년 10월 3일 자신은 주식을 계속 매수해왔다고 밝혔다. 그가 스스로 이렇게 이야기했다는 점에서 그의 말을 일단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보자. 그는 자신이 내다볼 수 있는 장래 시점에 투자자든 투기자든, 주식시장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있을지 고민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이론의 현실적인 기조는 그것이 비록 실제로 적용될 수 있는 전제는 아닐지라도 인간의 본성 그 자체에 있다. 활황기에는 인간의 본성이 도를 넘어서게 되고, 이 같은 과도한 성장은 그에 상응하는 침체를 불러온다.
한 예언자의 "회상"
사람들은 이처럼 미가야(아합왕에게 패전을 예언한, 구약성서 속의 인품)와 카사드라(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트로이의 공주로 트로이의 함락을 예언 했으나 아무도 믿지 않고, 결국 자신도 죽임을 당했다. 이상 옮긴이)를 달가 워하지 않는 것인가? 사실이 그렇고, 실제는 더 하다.
월 스트리트에서 돈을 날렸다는 사람은 수도 없이 만나지만, 월 스트리트에서 큰 돈을 벌었다는 사람 이야기는 거의 듣지 못한다. 내 경험을 토대로 말해보자면 주식으로 큰 돈을 번 사람들은 대개 입이 무거운 사람들이다. 이들은 여간해서는 자신이 거둔 투자 성공 사례를 입밖에 내지 않는다. 그저 신중하게 투자했을 따름이라고 이야기할 뿐이다. 갚을 능력만 있다면 신용으로 주식을 사는 것이나 은행 대출을 받아 집을 사는 것이나 아무런 차이도 없다. 다른 사람들의 문제를 늘 걱정해야 하는 복잡한 세상이지만 나는 여전히 이렇게 말한다. 주식투자자가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돈으로 주식을 거래하는 한, 비록 그 돈이 은행에서 대출받은 돈이라 하더라도 그건 전적으로 그 사람에게 달린 문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