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BIG MOO 빅 무
세스 고딘 외 지음, 김현정 옮김 / 황금나침반 / 2006년 2월
평점 :
절판
세스 고딘을 필두로 톰 피터스, 글레도웰 등 막강한 명성을 날리는 저자들이 모였다.
무엇을 위해? 책 표지를 보면 소가 나온다. 보라빛은 아닌 그냥 하얀 소지만
덩치는 무척 크다고 한다.
도대체 무엇을 하면 이렇게 커다란 소를 만들 수 있을까?
저자들의 면면을 보면 각자의 배경들은 다르지만 공통점이 존재한다.
세상이 자기에게 부여한 규칙을 따르기 보다는 스스로 세상이 움직이는 규칙을 바꾸려고 노력한 점.
주어진 일을 적은 노력과 시간으로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도 좋지만
정말 그 일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묻고 아예 일을 하는 방식을 바꾸어 버리는 것이 더욱 좋다.
톰 피터스의 경우 맥킨지라는 딱딱하고 보수적인 직장에서 전혀 남과 다른 일을 하려고 했다.
그 결과는 유명한 초일류기업을 찾아서라는 명저가 되었다.
하지만 성과에 대해 경영진과 논란을 벌이다가 결국 박차고 나와 자신의 이름을 걸고 사업을 시작했다.
덕분에 우리는 여러 좋은 책을 통해 그의 경영 사상을 만나게 되었다.
그가 만약 경영진과 타협해 회사안에서 적당히 일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톰 피터스의 책에 그 답이 있다.
돌아갈 때 무덤의 묘비위에 열심히 일했다라고만 박히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면 다르게 살도록 노력하라.
한국 사회는 아직 이렇게 리마커블하게 살려는 사람들에게 인색한 편이다.
미국과 다르게 자본이 유동적이지 않고 개인의 창의성을 존중하는 것도 매우 인색하다.
대표기업 삼성전자가 애니콜의 천지인 자판을 개발한 사람과 지루하게 소송하는 것도 한계고
종교적 자유를 찾겠다는 소년에게 가혹한 형벌을 내리는 종교의 권위도 문제다.
하지만 결국 획일적 제약은 깨지리라 본다.
무엇보다 발로 한국의 교육을 버리고 해외로 나간 수많은 부모와 아이들이 돌아오면서 새로운 흐름을
만드리라 예상해본다. 남을 통해 다양성을 익힌다는 것은 자신이 얼마나 고루하게 살고 있는지를
깨닫게 해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 또한 리마커블 해지자.
최근 나온 영화 괴물을 보면서 한 편의 영화에 이 만큼 여러 주제를 담을 수 있다면 충분히
밖의 시장에서도 호평을 받을 수 있겠다는 느낌이 든다. 그렇게 하나씩 세계를 놀라게 해보자.
문화는 삶의 형태이고 상품은 그 삶을 구성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문화의 일류화 없이
상품의 일류화는 불가능하다.
이제 세계는 자유화의 물결 속에서 일류만이 살아남는 시대로 변모해가고 있다.
남보다 더 많은 돈을 써서, 남보다 더 많이 배워서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남에게 의미 있는 자극을 줄 수 있는 삶, 어 저기에 무엇인가 있겠구나 하고 느끼게 해주는 삶.
바로 그런 것이 리마커블의 시발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