훤히 보이는 DMB - Take out 첨단지식
박창신 지음 / u-북(유북)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신 통신 기술에 대해 나온 책으로 이만큼 쉽고 알차게 나온 책을 찾기 어려웠다.
DMB가 도대체 뭐야? IT389는 뭔데 하고 궁금해할 때 많은 도움을 주었다.

손에 보이는 TV라는 개념을 놓고 출발해서
그 배경이 위성라디오 방송이었다는 점으로 연혁을 설명하고
위성 DMB와 지상파 DMB는 전혀 다른 방식이나 왜 내것은 저쪽 서비스가 안되냐고
투덜대지 말라고 친절히 충고해주는 점도 좋다.
TV 보는 시간이 늘어나면 준과 같은 엄청 돈 잡아먹는 비싼 서비스가 줄어들게 된다.
덕분에 통신사 수입이 한쪽이 약간 늘고 다른 쪽이 줄게 되니 적극적으로 보급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게 시중에서 DMB 단말기 사라고 권하는 판촉 사원이 없는 이유라고 한다.
문제는 한국에 너무나 많은 서비스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들 모두가 단말기가 필요한데 고성능일수록 단말기 가격도 고가다.
통신사의 작전은 보조금 얹어 주어서 당장은 싸게 느끼지만 장기적으로 비싼 서비스를
물려 본전을 뽑자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통신사가 매력을 못 느낀다면 서비스는 부진 할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DMB 도입을 독려한 정부는 다그치고 사업자는 서로 눈치보고 이런 상황이다.
이때 만약 킬러 어플리케이션이 나와주면 아주 좋다. 최근 WBC 야구시합이 낮에 열리는 통에
갑자기 가입자가 늘어난다. 사람에게 야 이것 꼭 써야겠다고 느끼게 만드는 것이 바로 킬러다.
처음 DMB가 진행될 때 드라마와 뉴스, 그 중에서도 교통방송 뉴스가 킬러 앱 역할을 해줄것으로
기대되었다.

이런 내용들을 쭉 따라가다 보면 책 한권 읽는 시간이 전혀 지겹지 않다.
기자가 쓴 책치고 전문성도 꽤 살렸다고 칭찬해줄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