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달에 200만원으로 해외에서 귀족으로 사는 법
정동우 지음 / 이지북 / 2005년 10월
평점 :
품절
열심히 살던 당신 이제 떠나라고 하는 광고 카피가 있다.
그렇게 고도성장 시대를 만들어간 장년층들이 이제 일선에서 떠나고 있다.
그들 중 일부는 보다 낫고 색다른 삶을 찾아서 해외로 나가고 있다.
부유층은 미국,캐나다,호주 등을 다니고 있지만 꼭 그 수준은 아니지만 골프도 치고 싶고
관광도 하고 맛있는 음식도 원하는 사람들에게 대안으로 주어지는 곳들이 있다.
여기 소개된 태국,필리핀,말레이지아,피지 등은 각기 독특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해외에서 손님들이 와 돈을 써주기를 바라고 있다.
노년층을 위한 생활공간은 우선 따뜻하고 변하지 않는 날씨가 매우 중요하다.
환절기에 날라오는 부고장을 기억해보면 이것이 얼마나 중요한 요인인 줄 알 것이다.
다음으로 의료인프라가 잘되어 있어야 한다. 싼 인건비로 홈 케어와 의료보장을 받을 수 있는 것
또한 중요한 조건이다. 더해서 가정부의 고용이 연 100만원 수준에서 가능하다면 활동이 불편한
노인층으로 더 할 나위 없을 것이다.
특히 나이들어 취미를 붙이게 된 골프나 다른 운동도 즐길 수 있다면 마다하지 않을 것 같다.
그런 이렇게 사람들이 나가는 건 우리만의 현상일까? 아니다. 일본은 벌써 훨씬 전부터
이런 문화가 나타나서 일본인 타운이 형성되어 있는 곳도 있다.
연금을 꼬박 꼬박 받아서 밖으로 내보내야 한다면 아마 내수는 활발해지기 어려울 것이다.
더해서 가정의 역할 또한 변화된다. 효도는 덜하면서 과거처럼 아이를 봐주라고 부탁하기가 어렵고
부모세대가 자신의 즐거움을 찾으러가는 걸 뭐라고 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이렇게 돈은 바깥으로 돌면 과연 국민연금은 그때까지 잘 버텨줄까?
아마 그 다음 수순은 부동산을 팔아서 마저 즐기는 것 아닐까? 강남 부동산이 세계 최고 수준인데
좀 팔면 이자만해도 국민연금에서 주는 것보다 넉넉하지 않을까?
미국은 이미 그렇게 유산 안남기기가 정착이 되는 것 같은데 한국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정말 그때가 되면 다들 부동산 팔려고 해서 값이 떨이질지도 모르겠다. 또 노년에 재산 하나밖에 없는데
양도세는 빼달라고 할수도 있고.
동아일보에서 연재로 내보낸 기획기사를 모으고 적당히 가공한 책인데 시류에 딱 맞는 것 같다.
그렇게 풍부하지는 않지만 숙제 하나를 머리에 남기는 책이다. 해가 갈수록 후속타가 나오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