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 인사이드 - 포토 에세이
김선정 글, 백 감독, NEW 제공, 용필름 제작 / 예담 / 2015년 9월
평점 :
품절


<별그대>는 전지현이 남자 둘 거느려서 화제가 되었다.

조선시대는 남자 하나에 여자 여럿인데 반대가 된 것이다.

<뷰티인사이드>는 여자는 하나, 남자는 수십명이다.

주인공 리스트를 보면 60명도 넘는 듯흐다.

주인공 한효주는 전지현보다 훨씬 행복해야 할까?

꼭 그렇지는 않은 듯 하다.

어쩄든 이런 미묘한 심리변화 덕분에 심리학 하신 분들이 추천한 덕에 영화를 보았다.

인생은 연극이다, 배우는 가면을 쓸 줄 알아야 한다.

나는 하나인데 나에게 다가오는 사람들은 가면을 쓰고 있다.

이건 무슨 의미일까?

산다는 건 관계속에 머무르는 것이다.

관계가 오락가락하면 나의 산다는 것도 흔들흔들 하는 셈이다.

가끔 기대가 컸던 관계에 실망하는 경우들을 본다.

친구인줄 알았는데 고객이더라,

동생인줄 알았는데 빨대더라.

원인을 보면 대체로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

힘들어서 어쩔 수 없었어요라는 게 대체적인 변명이다.

힘들기에 가면을 쓰고, 더 여러곳에 시도를 한다.

운 좋게 걸리기를 바라지만 사실 점점 진지함은 없어지기 마련이다.


영화 이야기를 많이 하면 스포일이라고 옆에서 뭐라고 한다.

독특한 시도덕분에 이 영화는 다른 생각을 하게 만들어 준다.

나는 계속 바뀌어가는 남자주인공의 모습에 피로를 느끼는 한효주의 얼굴에서 대기업 인사담당자를 떠올렸다.

최근 내주변에서 취업 자소서 지도를 해준 후배와 이야기를 나누어 보니

오늘은 S대기업, 내일은 K통신, 다음날은 은행.

하나 써놓고 문구 고쳐가면서 쉬지 않고 바꾸어대는 모습에 피로를 느꼈다고 한다.

절박한 사정은 이해하지만 자소서라는 건 얼굴이다.

얼굴을 계속 바꾸고 다가오는 관계에서 과연 진실이 느껴질까?

남이든 녀든 피곤한 것과 마찬가지로 

현대의 사람과 조직, 개인대 개인 모두 이런 피로를 느끼고 있다.

아주 극대화한 모습이 영화속의 장면들일 것이다.

그렇게 피곤한 우리들에게 무언가 해법을 위한 실마리를 주는 것도 사실이다.


바람직한 관계란?

외면인가 내면인가?

내면이라면.. 과연 무엇인가?


어려운 문제들에 주는 힌트 하나가 담긴 영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