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3 - 효종.현종실록 - 군약신강의 나라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13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효종 통치기 조선의 키워드는 북벌로 상징된다.
선대가 겪은 남한산성의 치욕을 딛고 군사력을 길러 대륙으로 나가자는 지침아래 나라가 온통 전쟁 준비에 매달렸다.
고교시절 조선의 왕 중에 드물게 나온 무력 숭상의 군주의 모습으로 효종은 놀라움과 선망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다 세월 한참 지나 한명기의 <광해군>를 읽고 나니 인조의 반정 보다는 광해군의 실리외교가 백성 입장에서 더 옳았다는 소견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소현세자의 서글픈 죽음과 함께 그가 가졌던 개방성이 다 사라졌다는 점에서 더욱 아쉬움을 가졌다.

효종의 시대를 중심으로 그린 박시백의 이 작품을 읽으면서도 내내 그런 아쉬움을 저버리기 어려웠다.

박시백은 당대의 북벌이 실제 전쟁을 일으키려는 의도 보다는 내부적인 단속을 위한 선전 효과를 더 기대했다고 서술 한다. 이는 강만길의 한국사에서도 어느 정도 나타내졌던 이론이다.
당대의 왕과 사대부의 관계는 별로 편하지 못했다고 보여진다. 인조는 사대부의 반정에 의해 자리에 앉혀졌기에 강한 군주와는 거리가 멀었다. 이후 벌어진 전쟁에서도 주도적 리더십도 최소한의 체면도 보여주지 못했고 책임을 나서서 지는 모습도 없었다.
그런 왕이 세자와 그 아들을 모살하고 들어 앉힌 효종의 권위 또한 강하지 못했다.
이렇게 약화된 왕권을 물려 받은 효종 입장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지향점이 바로 북벌이었다고 한다.

이 대목에서 그의 뜻이 컸다고 박수를 쳐주기에는 쉽지 않은 것 같다. 세상일은 바람(Want)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반드시 바람을 이루기 위한 방법과 구현수단(How)을 함께 가져야만 현실적이라고 한다.
북벌이 단순히 구호라고 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과정에서 너무나 많은 민력의 소모가 있었다.

당시 조선은 여러 차례의 전쟁에 의한 인명이 손상되었고 더해서 남과 북의 이민족이 오가는 덕분에 나온 전염병의 창궐로 생산력이 극도로 저하된 상태였다. 이 상태에서 지도층인 사대부들은 실질로 내려가서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 이념에 치중하다 보니 현실의 모순에 놓인 민초들의 고통은 해결되지 못하고 있었다.
대표적인 논란이 광해군대에 시작된 대동법의 확산 문제였다. 여전히 반대파는 많고 진행 과정도 매우 느릿느릿했다. 그래도 한발 정도 더 나간 것은 인정해야 하지만 아직 많이 부족하다.

민생의 부실이라는 현실을 외면한 정신은 위로 올라가 과잉의식이 되어 현종대에 이르러서는 예송 논쟁만 잔뜩 일으키고 만다. 왕조의 예를 위해 여인 한명이 1년간 흰옷을 입느니 안 입느니 하는 일이 과연 그렇게 중요했을까?
지중해를 넘어 아프리카를 넘어 대항해시대가 열려서 산물이 오가며 산업혁명의 토대를 축적해가는 세계사의 흐름과 비추어 볼 때 조선의 역사는 너무나 한심하게 흘러간다.
가까운 중국과도 교류를 차단해버리는데 쇄국을 국시로 내세운 일본의 도쿠가와 막부 조차도 네덜란드와의 교류를 작게 나마 유지해간 점과 비교가 된다.
이는 표류기로 유명한 하멜 등이 대우에서도 잘 나타난다.

이념에 치우친 체제는 그 자체로 완결성을 갖추려고 하고 거기서 나타나는 형식적 미를 추구한다. 반면 현실은 아무리 정교한 이론으로 재단하려고 해도 잠시 뒤에는 결정적인 예외가 나오기 마련이다. 기독교가 갈릴레오의 지동설을 억지로 막으려 했던 것도 그런 연유다.
하여간 조선은 주자학이라는 자기 틀 안에 들어오지 않는 문제는 쳐다보지도 않고 더욱 더 이념의 완성에만 몰두했다. 반면 세계사의 흐름은 자유와 평등, 과학기술의 중시로 도도히 흘러간다. 주변이 발전된 모습으로 횃불을 들고 나타났을 때 조선의 어두움은 도저히 봐주기 어려운 수준으로 드러나고 만다.

그 암흑으로의 길을 여는 군주가 바로 효종이었다.

아쉽게도 같은 길을 걸어가는 현대의 군주가 바로 김정일인 덕분에 지금의 한반도가 이꼴이 되었지만.

어쨌든 박시백의 이 작품에서는 얼마간 아쉬움을 느낄 수 밖에 없었다. 작품의 입체성이 초기작보다 많이 떨어진다. 오죽하면 예송논쟁을 묘사하는데 서로의 주장만 길게 몇장씩 말로 채우고 말았나 혀를 차게 된다. 주변의 흐름과 비교되지도 못하고 상하의 입장차이도 못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점수를 낮추어 줄 수 밖에 없다.
작가가 다시 심기일전해서 이제 반환점을 돌아 종결로 가는 이 시리즈의 마지막 스퍼트를 기대하는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