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해서 돌아온 해외 입양인 얘기는 미담처럼 회자된다.

사회적으로 성공한 소수 해외 입양인의 얘기는 미국과 유럽으로 보내진 20만 명이 넘는 해외입양인들의 운명 또한 한국에서보다는 나았으리라는 막연한 믿음을 유포시키고, 한국의 아이들을 해외로 보낸 어른들의 죄책감을 덜어내는 데 기여하는 것 같다.


<할머니 의사, 청진기를 놓다>는 오랫동안 서울시립아동병원에서 또 홀트아동병원에서 50년간 헌신한 조병국 원장의 책이다. 그는 책에서 그가 그동안 만났던 아이들의 이야기를 한다. 해외로 입양되었거나 국내 입양된 아이들, 병원에서 목숨을 잃은 아이들, 버려지고 상처받았던 아이들...... 


그가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고자 노력했음을 의심하지 않는다.

그러나 자신이 몸담고 있는 단체의 성격과 역할, 그 한계에 대해서는 그다지 솔직하게 서술하지 못하는 것 같다. 


그는 책에서 항변하고 있다.

집 없고 병든 아이들을 위해 양부모를 찾아주고 싶었을 뿐이고 국내에 없어서 해외로 입양보냈을 뿐이라고. 그러나 하루 아침에 입양수수료 받고 고아를 수출한다는 사회적 비난에 상처받고 인생전체가 흔들리는 위기감을 겪었다고. 성장한 후 한국을 찾은 해외입양인들은 생모와 모국에 대한 원망이나 증오가 없다고.


생후 몇 개월만에 미국으로 입양되었던 제인 정 트렌카는 지금 한국에서 [진실과 화해를 위한 해외 입양인 연대]를 만들어 활동하고 있다. 해외입양인인 제인 정 트렌카가 요구하는 진실과 화해는 무엇인가? 입양되었던 당사자가 경험했던 무수한 아픔과 상처, 좌절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들을 입양보냈던 기관들은 정말 아무런 책임이 없는 건가? 


가난한 미혼모는 국가로부터 1달에 5만원을 지원받지만, 고아원에 아이를 맡기면 해당 고아원은 아이 1명당 105만원을 지원받는단다. 아이를 낳은 생모에게는 아이를 키울 수 없는 돈을 지원해주는(물론 '가난한' 미혼모에게만 그나마 5만원이 지원된다) 제도, 5만원과 105만원의 차이가 무엇을 말하고 있는 건지..


더구나 해외 입양이 증대된 것은 전쟁고아를 해외로 입양하는 것이 거의 종료된 시점부터라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다. 입양을 이야기 전에 먼저 생모가 아이를 돌볼 수 있는 권리부터 보장하는 것이 우선이 아닌가, 이 책을 보면서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다. 


정작 해외입양인들은 이 책을 어떻게 읽었을지 궁금하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2-07-03 16:5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2-07-04 10: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프레이야 2012-07-03 2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사님, 저는 이 책을 좋게만 보고 읽었는데 이런 문제가 있네요.
그렇겠어요. 현재는 국내입양이 예전보다 훨씬 늘어났다고 하던데,
친엄마가 돌볼 수 있는 권리와 보장부터 마련해주는 정책이 시급하겠어요.
한달 5만원과 105만원의 차이라니ㅜㅜ 놀랍군요.

rosa 2012-07-04 10:33   좋아요 0 | URL
저도 그 얘기를 듣고 기가 막히더군요.
심지어는 미혼모들을 보살핀다는 시설들 가운데 처음부터 입양 서류부터 들이민다는 얘기도 들었습니다. 아이 낳을 동안 머물게 해 줄 테니, 아이 낳으면 바로 입양하는 걸로. ㅡㅡ;
그 얘기를 듣고 마음이 많이 무거웠습니다.

nada 2012-07-04 20: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얼마 전 그것이 알고 싶다던가.. 다른 프로던가..
개인입양을 다룬 적이 있었어요.
인터넷 댓글이나 메일 등을 통해서 입양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더군요.
정말 아기를 원하는 사람들보다도 브로커가 대부분인 것으로 의심된다고 해요.
어찌나 무섭고 소름 끼치던지..
거기 나온 한 십대 미혼모는 능력도 안 되고 미성년자라 공식적인 입양 기관을 이용할 수도 없어서 개인입양을 알아보고 있더라구요.
근데 자기가 키울 수만 있으면 키우고 싶다고, 그 어린 소녀가 갓난아기를 꼭 안고 그런 말을 하는 거예요.
아기를 키울 의지가 있는 미혼모라면 한 달 105만 원, 아니 그보다 훨씬 더 적은 돈을 지원받을 수 있어도 어떻게든 자신이 아기를 키울 텐데.
사람들의 삶을 가장 우선적으로 살피지 않는 이상한 제도들이 너무 많은 것 같아요.
정말 마음이 무겁네요.


rosa 2012-07-05 11:12   좋아요 0 | URL
저도 그 프로그램 봤어요.
뒷부분만 겨우 봤는데 가슴이 덜컥 내려앉더군요.
미혼모 가운데 10대 보다 2,30대가 훨씬 많다고 들었어요.
나이가 얼마이든 상관없이 직장이 있다면 있는 대로 없다면 없는 대로 혼자 아이를 낳고 돌보는게 얼마나 힘이 들지..
집을 나와 혼자 아이를 부둥켜 안고 있는 그녀의 모습이 너무 안타까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