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79892317344794.gif)
연극열전 11번째 작품입니다 벌써.
이제 남은 동숭홀 티켓은 두장입니다.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 지,
대극장 연극은 상당히 압박으로 다가옵니다.
오태석, 그 유명한 오태석의 공연을 두번째로 봅니다.
이 두가지 생각 외에는 아무 생각없이 공연을 보기 시작했습니다.
무당을 하는 듯한 할머니의 나이든 이야기가 나오고
그녀의 꿈 속에서 의자왕과 성충과 계백이, 그리고 의자왕을 죽이는 금와(화)가 나옵니다.
그녀가 키우는 수양딸이 금와의 환생이라는군요.
깨어난 무당할미는 자신의 수양딸의 접근을 막습니다.
의자왕을 모시는 사당에 너는 안된다고,
1400여년이 된 시체들이 발굴되고 이제 의자왕의 안녕을 비는 한판 굿이 시작됩니다.
무당과 금와는 의자왕을 찾아 풀 것을 풀기위해 명부로 나섭니다.
죽을 때까지 상소문을 썼다는 성충은 가마우지(?) 맞나요? 그 목에다 링 걸고 물고기를 잡는 그 낚시에 사용되는 새가 되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위정자들에게 알맞는 유교를 백성들에게 강요한 죄더군요.
-그러다 갑자기 그 사람의 원한이 풀립니다.^.^;;
계백은 자신의 아이들을 죽인 죄로 매일 매일 자신의 아이들을 죽이며 삽니다.
아이가 나비가 된 날은 거미가 되어 잡아 먹고,
아이가 파리로 환생한 날은 개구리가 되어 잡아 먹고,
의자왕은 항아리에 묶여 자신때문에 죽어간 군인들의 칼에 찔립니다.
그 칼을 다 모아야 그 군인들의 염원을 푼다고합니다.
그런데 금와가 풀어서 데리고 오며 화해를 합니다.
다시 돌아온 이승에서는 할미 무당은 죽고, 그 딸 혹은 금와의 환생이 내림굿을 받습니다.
헥헥, 여기까지가 제가 이해한 스토리입니다.
아마 화해와 재생을 말하는 것 같은데 잘 모르겠습니다.
어쩌면 이 연극은 자신들이 만든 함정에 빠진 것 같습니다.
전에 오구를 봤을 때의 바로 그 느낌입니다.
뭐라고 할까? 이 두 극단 모두 배우들의 기본이 잘 되어 있는 극단입니다.
무대 위에서 흐트러지지 않는다고 할까요?
동작에 장식을 하거나 겉멋을 첨가하지 않고
배우들이 똑바로 서 있는 법부터 잘 가르친 곳 같습니다.
배우들이 기본적으로 소리를 다 하고, 춤 가락을 출 주 알며,
무대에서 많이 돌거나 힘든 동작을 해도 흐트러짐이 없습니다.
그런데 그것을 너무 과신한 것 같습니다.
보여주고 싶은 마음은 십분 이해하지만
필요없는 창을 두 세번 하는 장면 한번 시작한 소리는 끝이 안나는 점등은
정말 지리해서 힘들었습니다. 과유불급이란 말은 진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