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절한 균형>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적절한 균형 아시아 문학선 3
로힌턴 미스트리 지음, 손석주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도대체 뭐가 적절한 균형이란 걸까?
처음에 책을 받았을 때 이 엄청난 책의 두께에 눌려서 열어보지 못하고 놔뒀었는데..
한번 펼쳐서 읽다 보니, 하루만에 200페이지가 훌쩍 넘어가는 엄청난 속도(?)의 진전을 스스로 경험할 수 있었다.
이 책은 4명의 삶을 적절히 섞어가며, 인도라는 나라와 그네들의 삶을 바라보면서 나의 삶을 돌아보게 만드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디나 ! 최고로 보장된 직업인 의사의 자식으로 태어났지만, 부를 쌓기보다는 봉사를 택한 아버지였기에 그의 죽음으로 몰락하게 된다. 오빠는 아버지의 가문을 일으키기 위해서 애를 쓰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자신의 이야기 디나의 눈에는 그런 오빠의 행동이 그리 좋아보이진 않는다. 유일하게 아버지를 이해할 줄 아는 영민한 그녀였기에 오빠에게 저항하는 삶을 택하게 되고, 이를 보고 계속 부딪혀야 하는 오빠 누스완은 폭력으로 그녀를 억압하게 된다. 하녀와 같은 희망없는 삶을 사는 디나가 결혼할 나이가 되어 오빠가 대주는 변호사, 의사, 판사들을 마다하고 선택한 그녀의 짝은 약제사 러스텀. 행복은 오래갈 수 없는 걸까? 그녀와 러스텀의 알콩달콩한 사랑은 3년만에 끝을 맺고, 그녀는 암울한 삶을 다시 재개한다.
그녀를 찾아오게 된 두 재봉사 이시바와 옴. 재봉사를 하게 된 그들의 삶과 이시바의 반쪽짜리 웃음과 슬픔의 사연, 옴과 디나의 동창 아들로 그녀의 하숙생 마넥이 펼치는 인도에서의 삶에 관해 적은 글이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내내 내 머릿속에는 두개의 이미지들이 펼쳐졌다. 먼저 예전에 읽었던 신도 버린 사람들.. 이미 그 책을 통해서 인도의 카스트 제도와 불가촉 천민에 관한 이야기를 접해서 책에서 펼쳐지지 않았던 그 이면까지 또 한번 아련히 떠올려가면서 읽을 수 있었으며, 신부를 보기 위해 한 버스에 50명 가까이 되는 사람이 타고 가거나 꾸중물이 가득한 물로 세수를 하고, 철도에서 대변을 보는 부분에서는 영화'슬럼독 밀리어네어' 의 소재가 되었던 Q&A가 자꾸 생각났다.

삶을 살다보면, 불평등하다고 느끼는 것이 한두개가 아니다. 조용히 잘 지내다가도 이건 국가의 음모일 것이다. 잘 사는 사람과 잘난 사람을 위한 것이다. 내가 왜 그들의 조종을 받아야 하느냐, 모두가 잘 살면 안되느냐.. 등등의 불만을 토로할 때가 있다. 불공평하다. 불평등하다.. 균형이 맞지 않다는 소리겠지? 하지만, 내가 말하는 이러한 것들이 이 책을 통해 본 인도인들의 삶과 또 비교를 해본다면... 할 말이 없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자그마치 900여페이지에 이르게 펼쳐지는 4명의 암울한 어렵기만 한 삶(물론, 인간의 삶이기에 그 속에서 더욱 따뜻한 정이 느껴지는 면이 있긴 하지만...)을 통해서 천재작가가 말하고자 한 것은 결국 개인과 역사, 개인과 국가가 적절한 균형을 이루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역설하는 데 그치지 않는 게 아닐까 싶다.
요즘 우리나라가 꿈꾸는 나라는 모두가 부자가 되고, 모두가 잘난 나라인 것 같은데.. 과연 그런 이상향을 만들면 누구나가 다 풍요롭고 행복할까? 그것은 아닐텐데... 비록 오늘 삶을 견뎌내고 내일을 바라보기 힘들다 해도 지금 이 순간이 행복한 삶이 진정 풍요로운 삶일것이다. 
근데 정말  아이러니한 건 말이다. 그렇게 말하면서도 이왕이면 풍요속의 행복을 꿈꾼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런 개인의 욕망을 충족시켜주고 싶어서 또 국가가 나서는 것이고, 국가가 나서다 보면 또 개인의 행복이 거기에 흔들리게 되는 것이고, 어렵다.. 디나의 말처럼..
사람들은 왜 있는 그대로 만족할 수 없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