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명의 날>을 리뷰해주세요.
운명의 날 - 유럽의 근대화를 꽃피운 1755년 리스본 대지진
니콜라스 시라디 지음, 강경이 옮김 / 에코의서재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운명의 날... 종교이야기인가?
언젠가 심판의 날이 온다더니.. 그 날을 말하는 것일까?
리스본 대지진이라.. 생소하다... 유럽의 근대화를 꽃피웠다고? 지진이라면 모든 것이 무너져버리고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는 상황을 말하는 건데.. 어떻게???
리스본이 어디인지부터 유럽의 근대화를 꽃피운 사건이라는 1755년 대지진이야기는 너무나 생소했다. 
1755년 11월 1일 9시 30분 포르투갈 리스본 대성당에 진도 9이상의 지진이 발생했다. 만성절.. 카톨릭의 모든 성인을 기린다는 만성절..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모여있었을 것인가..
자연의 힘앞에서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 얼마나 될까? 해상강국으로 식민지 전쟁의 우위에 섭렵해 있었던 중세의 파워막강했던 포르투갈이 빛을 잃게 되었다.
글의 초반분는 이런 자연재해의 피해와 그 상황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어서 흡입력있게 나를 끌어들였다. 그리고, 중반부에는 헤성처럼 등장했던 카르발류라는 인물이 펼쳤던 복구정책을 포함하여 포르투갈 리스본의 종교, 사회 전반적인 흐름을 역사적으로 통찰력있게 살펴보도록 전개되어 있고, 마지막은 카르발류라는 인물의 끝과 포르투갈의 후반부를 언급하면서 끝을 맺는다.
음.. 종교이야기는 아니다.. 이 책을 어떻게 분류해야 할지가.. 내겐 가장 큰 고민이 되어버렸다.

대지진으로 인하여 순식간에 무너져버린 한 도시를 복구하고 재건하는데, 왕이 해야 할 역할들을 알아서 너무나 카리스마있게 처리했던 카르발류. 평민출신(?)에 가까운 그가 두번의 결혼을 거쳐 극적으로(?) 상승된 그의 신분과 주제 1세의 우유부단함과 몽매함(이건 내 생각), 대지진은 카르발류라는 인물을 역사속으로 등장시키기 위한 필연적인 흐름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까지..

예수회와 싸우는 카르발류의 대립을 봤을 때는 모든 것은 신의 섭리이다..라는 식으로 해석이 되었던 사회 통념을 바꾸는 인간이성의 승리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것일까?
카르발류라는 인물과 신의 섭리보다는 인간의 자유의지로의 변화를 꾀하게 되었던 계기가 리스본 대지진이며, 불사조처럼 잿더미에서 다시 날아올랐던 포르투갈을 시대에 뒤떨어지게 만든 몽매한 신념들을 과감히 벗어버릴 수 있게 했던 운명의 날, 재앙이 또 하나의 기회가 되었던 날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추악함을 더이상 보지 못한 하느님의 심판이 내려졌다느니.. 그런 식의 해석은.. 안 내렸음 한다..

콕 찝어서 이 책은 이런 이야기다라고 정의내릴 순 없지만.. 은근히 매력있는 역사서(?)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책을 쓴 저자는 건축비평가라고 하는데 그의 박식함과 통찰력있는 역사바라보기에도 박수를 보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