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을 리뷰해주세요.
영화로 만나는 치유의 심리학 - 상처에서 치유까지, 트라우마에 관한 24가지 이야기
김준기 지음 / 시그마북스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는 누구나가 좋아하는 종합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처음에 봤을 때는 감동하고, 두번째 보면 지나쳐버렸던 복선들을 찾는 재미가 있고, 세번째 봤을 때는 객관적으로 볼 수 있고, 네번째 볼 때는 감독의 눈으로 보는 시도를 해볼 수 있다..
아직까지 난 책이나 영화를 네번째까지는 보지 못했다. 어느 친구가 했던 말이다.
하지만, 책이랑 영화를 좋아하는 건 사실이다. 다만 두번 세번 곱씹어 볼 기회를 갖지 않고 있을 뿐이지... ㅎㅎ 
작가는 종합예술인 영화를 통해서 일반인들이 쉽게 심리학에 다가오도록 인도하고 있다.
여러 영화들의 이야기속에 숨겨진 심리학을 읽어 주는 과정이 참 흥미롭다고 하겠다.
더불어 내가 봤던 영화인데도 불구하고, 다른 시선으로 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어서 한번 더 보고 싶은 충동도 같이 일으켜준다.  

이 글은 처음부터 끝까지 참 일관성이 있는 것 같다.
책을 들어서 덮을때까지 끝없이 접하는 네 글자가 있다. 바로 "트라우마"이다.
인터넷 만화에서 많이 봤던 것은 같은데 정확한 뜻은 몰랐다. 심리적외상이라고나 할까?
겉으로 보이는 상처는 눈에 보여서 감출 수가 없고, 더불어 보는 이들과 공감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속으로 갖고 있는 상처.. 그리고 그 지워지지 않는 상처를 갖게 된 계기가 바로 트라우마라고.. 조심히 설명해본다.  

작가가 말하는 트라우마를 접하고 있노라면, 이 세상 모든이가 심리적으로 치유받아야 할 트라우마를 갖고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삼풍백화점이나 성수대교붕괴 같은 굵직한 사건들뿐만 아니라, 어렸을 적 부모님이나 언니 동생이 했던 작은 행동하나가 평생 지워지지 않는 트라우마로 작용하여 사람의 인생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인들이 아는 경우도 있지만, 모르는 경우가 많다. 정신병과 아닌 것은 그것이 나의 문제라는 것을 인정하거나 아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고 들었던 기억이 있다.
현대인들 특히나 대한민국이라는 작지만 시끄러운 이 나라에 사는 우리들은 크게 작게 자신만의 트라우마를 갖고 살아간다. 본인이 치유받아야 할 심리상태라는 것도 모른채... 하지만, 이 책을 읽고 있는 동안 수없이 접하는 트라우마와 상황속에서 나는 어떤가?라고 묻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책의 끄트머리쯤에 작가가 제시하고 있는 해결책 중에 EMDR이라는 요법이 나오는데.. 이건.. 작가의 또다른 책을 읽어보길 바란다.^^; )

어두운 과거의 영향으로 현재와 미래의 빛깔까지 퇴색해 가는 것.. 이것을 운명이라고 한다고 본문에서 언급되어 있다.. 운명이란 없다. 헤쳐나가야지~~ 
나에게도 트라우마가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아니 알고 있었지만 그것이 트라우마라는 사실을 이제야 알았다. 하지만, 나는 그러한 트라우마에 지배되거나 영향받지 않도록 살것이다..라고 감히 다짐해본다. 난 스스로 내 상처에 붕대를 감을 수 있다고? ㅎㅎ 

트라우마에 대해서 알고 싶고, 영화 속에서 심리학을 읽어내보고 싶은 분이라면.. 가볍게 읽을 만하다. 음... 사이사이 심리학에 관해서 설명하는 챕터가 있는데 이것도 지적성숙에 도움이 된다고도 추천해본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