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마지막 인터뷰>를 리뷰해주세요
노무현, 마지막 인터뷰 -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노무현! <오마이뉴스> 오연호 대표기자와 나눈 3일간 심층 대화
오연호 지음 / 오마이뉴스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노무현~ 그는 누구일까?
내가 알고 있던 그는... 자신의 위치의 중요성을 망각하고, 막막을 잘하는 대통령.
시민들과 잘 어울렸던 대통령. 시민들이 하나되어 만들어낸 대통령.
이라크 전쟁과 FTA를 치뤄내 버린.. 대통령. 
탄핵을 당할뻔한 대통령..  

이정도라고 할까? 이런 면에선 대단한 것 같고.. 이런면에서는 아닌 것 같고.. 더하기 빼기는 영
어차피 그도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정치인일뿐...이라는 생각에서 많은 애정도 어떠한 원망도 미움도 제대로 하지 못했던 게 노무현에 대한 내 생각이었다.
무엇인가를 평가내리려면.. 그 전후 사정.. 배후까지 읽어내야지 제대로 된 평가를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섣불리 평가 내리는 데 신중해야 한다는 것을 배워가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일까? 처음 그의 죽음을 접했을때.. 한동안 멍했다. 남들처럼 울음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아깝고.. 슬프고.. 그런 것보다는.. 한 나라의 대통령이 자살하게 만드는 이 나라가 원망스럽기만 했다. 분향소에 가서 분향을 하고 국화를 놓으면서도.. 한 인간으로서 짠함을 느꼈을 뿐이었는데.. 이 책은.. 내가 모르고 있던 노무현에 대해서 많은 면을 볼 수 있도록... 알려주었다고 할 수 있다. 정치에 대해서 세상에 대해서 별로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는 나를 흔들어 주는...

처음부터 정치인이 되고자 하는 생각은 없었다는 노무현...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아가는 사람, 정정당당하게 승부하는 사람이 성공하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 원칙이 승리하는 역사를 우리 아이들에게 물려주어야 한다. ... 정치를 하는 이유라는 그의 소신있는 정치학이 가슴속으로 스며들어 아리다.. 

옳은것을 지키기 위해서 싸우다 보니.. 어느덧 밟고 있게 된.. 정치라는 세계가..
가장 깨끗하고 바른 눈으로 바른 귀로 바른 입으로 국민을 대해야 하는 언론의 역행..그리고 그의 횡포.. 조중동.. 그 속에 깃든 음모론...
얼마나 힘들었을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무작정 그를 영웅화시키고, 애찬론을 펼치자는 것이 아니다.. 다만.. 이런 곳이 바로 대한민국의 정치판이고... 생각이 있고, 바르다고만 해서... 세상이 제대로 바로 설 수는 없다는 것... 진정한 권력이란 시민권력이고.. 그렇기 때문에 ..
우리가 공부를 계속하여야 한다는 것...

후불제 민주주의라고 말을 들었던 것 같다. 미국같은 나라는 온갖 시련을 겪고 겪어서 체계화된 지금 태어난 것이 민주주의라는 것이지만.. 우리나라는 처음부터 민주주의란 엄청난 결과물을 받아내고, 지금은 그들이 처음에 겪었던 것들을 지금에 와서야 겪어내고 있어서 이리도 시끄럽고.. 아픈 것이라고 한다... 아프고 나서 곪아버리지 않고, 아픈만큼 성숙하기 위해선... 우리 진정한 권력이 깨어있어야 한다는 것을 그는 끊임없이 외치고 있었던 게 아닐까?  

남북전쟁을 마치고 난 후 링컨이 저격당한 것을 보고.. 했던 말 중 해결책이 안보였거든.. 죽어버렸거든.. 이 말이... 그가 얼마나 힘들었는지를... 왜 그런 선택을 하게 되었는지를 조금 아주 조금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었고,
대붕역풍비 생어역수영 (큰 새는 바람을 거슬러 날고 살아있는 물고기는 물을 거슬러 헤엄친다.)이라는 높은 이상과 함께.. 주인이 알아주지 않는 머슴들은 결코 훌륭한 일꾼이 될 수가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라고 말했던 그의 말이... 책을 덮고 난 다음도 아련하게 마음을 아프게 한다..
그토록 열심히 싸우자고 외쳐댔던.. 그의 말을 듣지 못했던 것...
지금도... 아무 생각없이 잠자고 있는 나의 모습... 을 꼬집는 것 같아서?

노무현 대통령을 영웅화하고 우상시 하자는 것이 아니라...
노무현에 대해서 .... 좀 더 알고 싶다면... 한번쯤 꼭 읽었으면 하는 책이다..   
왜 그가 그렇게 막말을 하게 되었는지..(그게 잘했다는 건 아니다.. 하지만.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왜 한 국가의 원수가 그런 결정을 하게 되었는지... 일개 국민인 내가 할 수 있는 생각을 그는 왜 하지 않고.. 그랬는지?라며 의아해했던 문제들이 조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 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   

공부합시다! 민주주의! 깨어있습시다! 시민들이여~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을 아름답게! 원칙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 누구도 아닌 우리 자신의 힘이 필요합니다! 라고 외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