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다빈치코드를 오늘에서야 봤다. 그간의 평들을 읽어왔기에 그리 기대하지는 않았었다.

시내 오데옹극장에서, 월요일 5시 30분 시작. 이미 볼 사람들은 다 봤는지, 애매한 시간이라고는 해도 큰 상영관에 약 20명 남짓한 손님들로 한산했다. 예고편들에 캐리비안의 해적 2와 슈퍼맨리턴즈이 있었는데. 재밋을 것 같았다.

수퍼맨은 아련한 향수를 자극하는 동시에 향상된 기술로 붕붕 날아다니기 등 기본 기술에서 옛날 수퍼맨보다 훨씬 박진감 넘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주인공 클라크를 맡은 청년은 내가 요새 젊은이들을 모르기 때문에 (-- ;) 음, 누구냐, 찾아보니 브랜든 루스라고 한다. 이전 수퍼맨과 진짜 닮았다고 생각했는데, 보니깐 크리스토퍼 리브와 닮은 사람을 찾아 뽑은 것이란다. 착하게 생겼다. 윌 앤 그레이스에도 나왔다던데 언제 나왔지? 잠깐 지나가는 사람이었나? 윌의 애인정도? 모르겠네.

내가 좋아하는 케빈스페이시가 악당으로 등장하는 것도 호기심 자극. 음. 케빈스페이시의 연기가 좀 기술이 이미 다 노출되어버린 느낌이 있어서 아쉽지만. 그래도 유주얼서스펙트 때의 인상이 워낙 좋아서 여전히 좋아하고 있다. 또 고등학교 때 고전문학 선생님을 닮은 것도 내가 좋아하는 이유 중의 하나. 그 선생님께선 어떻게 잘 지내고 계신지. 좋아해야할 지, 무서워해야할 지 모르게 참으로 특이한 분이셨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내가 좋아했던 것 같다. 후훗...

이리 길게 한낱 예고편에 대해 쓴 것을 보면 이미 눈치 챌 것이지만, 그랬다. 다빈치코드는 그냥 평범했다. 참으로 매력이 있을 법 했으나 없는 작품이었다. 책으로 읽었을 때 영화화 되기를 기대하고 썼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가졌었는데. 영화가 책을 잘 요약한 것 같기는 하다. 또 아름다운 루브르박물관의 그림들을 잠시라도 일견하는 것도 좋은 일이었다. 마지막 장면에서 아래로 향한 유리피라밋과 바닥의 작은 피라밋을 보여준 장면도 멋있었다.

그런데, 책을 읽었을 때 마치 007이 연상될 정도로 날렵할 것만 같았던 로버트 랭던박사가, 천진하고 사랑스러운 포레스트 검프로 분했던 톰행크스로 구체화되면서, 애는 쓴 것 같았으나, 와락, 뭔가가 한번 무너져내렸고. 아밀리에를 했던 귀여운 오드리또뚜가 예수님의 혈육이라는 소피 느뷔라고 하는데 또 기냥 무너졌던 것이다.

그게 한계가 있는 것 같다. 예수님이라는 이미 너무나도 신성화된 존재의 혈육이네 로얄블러드네 하는 것이. 그냥 소설로 읽을 때는 내 머리 속에서 구체적이지 않은 비현실적인 이미지로 떠올려지니까 그냥 그려러니 했는데. 그게 너무도 현실감 있게, 내가 보아 온 살아있는 한 배우에 의해서 형상화가 되니, 전혀 현실감이 없어져버리는 것이었다. 장엄하지도 않고, 알비노 수사의 자학도 그리 충격적이지 않고. 그냥 헛웃음이 나게 전체 이야기 자체가 허구로 다가와 버리는 비극을 맞았으니.

종교적 이야기를 영화화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것 같다. '성스럽다'라는 개념은 인간이 상상할 때 '가장' 좋은 것, 혹은 '가장' 아름다운 것이어야 할 것 같은데. 인간의 머리 속에 이미 구축된 엄청난 기대와 상상력을 영화로 구체화 시켰을 때는 그것이 좁아지고 작아져 버리는 것이다. 리틀부다에서 키아누리브스가 부처님을 연기했을 때 느꼈던 허탈함과 같은 느낌이랄까. 

차라리 전혀 다른 문맥에서, 그러나 연결고리들만을 제시해서 관객에게 상상할 수 있는 여백을 주었을 때, 그러니까, 키아누리브스가 네오라는 이름으로 세계를 구원했을 때, 예수님의 이미지를 흘리면서, 매트릭스는 영화적으로 관객에게 일종의 성스러운 느낌을 전달하는데 성공한 듯하다.

그러고보니, 멜깁슨이 햄릿을 연기했을 때도 유사한 감정을 느꼈더랬지. 그러고보면, 꼭 종교적 인물에 국한 된 것이 아니라, 햄릿과 같이 인물이 워낙 사람들에게 크게 각인되어 있고, 배우의 이미지가 워낙 강하게 고정되어 있을 때, 그 두 정보가 충돌을 일으키면 이런 허탈감이 유발되는 것 같다. 

다빈치코드. 그래도 나는 톰행크스가 좋다. 너무 착한 듯한 인상. 그래. 포레스트 검프 때 나는, 좀 많이 과장하면, 성스러움을 느꼈다니까.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방금 본 인상.

우선 무서워. ...

총. 피. 양복. 일본말. 술. 아저씨들. 여자. 광화문과 옛 국립박물관. 그 앞 통행 금지로 텅빈 밤 도로. 어두운 나무 문. 매우 두꺼운 돌로 된 것 같은 탁자. 군복. 다이알 전화. 각하. 할아버지. 중정. 정문과 연결되지 않는 무전기.  

이게 실제 한국에서 일어났던 이야기다보니. 나도 살아있었던 시대. 나도 그때 동네 어디서 쌕쌕 잠을 자고 있었던 것이야. 사람이 그냥 그렇게 죽는구나. 그렇게 총기 사용이 가능한 사람들이 있고, 그래서 그렇게 사용을 했다. 총을 쏘니까 사람이 죽었다. 최고 권력자와 그 권력에 가까웠던 사람들.

권력은 총구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너무나도 자연스럽게 말하는 사람이 있고. 그게 그러니까, 그 시절, 그 일단의 사람들과 어울렸던 그에게는 그게 체험에서 얻어진 삶의 진리였던 것이다. 그게 그가 본 전부였던 것이다. 세상이 그렇게 돌아갔던 것이다. 

이 영화에서 보여진 황당한 모습의 이 나라 권력자들이 이 나라를 '운영한다'는 것이 정말 무어라 형용할 수 없는 두려움을 일으켰다. 영화래도. 비꼬아지고 과장이 되었대도.

내가 너무나도 권력과 거리가 멀다 보니, 그 알 수 없는 세계에 대해서 공포가 느껴진다.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세계. 실체를 알 수가 없는. 내가 모르는 일본말을 막 하는.  

권력자라는 그 이상한 남자들. 정말 이상한 남자들. 무서운 남자들. 총만 가진. 뭐야 진짜. 다 무지 느끼하고. 그리고 무섭고.

사랑과 평화 뭐 이런 건 전혀 상관이 없는 듯한 세계.

나 너무 순진한가보다. 나 세상 어떻게 살아가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룡과 김희선. 놀랍게도 초반 우정출연인지 최민수까지 잠시 얼굴을 보이더군.

처음부터 끝까지 어디선가 본 듯한 이야기, 인물들을 모아놓은 영화.  진시황릉이 공중부양하고 있더라는 상상력 빼고는 뭐, 민민한 이야기.

김희선.

나는 그녀를 좋아한다. 너무너무 이뻐서. 그런데 왜 영화에서는 마다마다 그리 망한다고 평이 나오는 것이까. 그녀가 나온 영화를 거의 본적이 없어서 이유를 생각해보지 않았는데. - 자귀모를 채널 돌리다 잠시 봤는데, 흠칫하곤 돌리던 채널 계속 돌렸다.

신화를 보고는 알아버렸다.

그녀가 출연 영화마다 망하는 이유는 망가지기를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모든 장면에서 포토제닉 표정만 연출하다보니 진정성 제로.  놀라도, 웃어도, 슬퍼해도, 그리워해도, 모두 이쁘게만 보이게 만들어진 표정을 지으니 너무나도 가짜같고, 느끼해지는 것이다. 그렇게 부자연스럽게 연기를 하니, 자신감이 부족해보이고 초라해 보이고 연기자로서 미성숙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아니, 그렇게 이쁜 그녀가 왜  그리 자신감 없어하는 것일까? 어떻게 망가지건 간에 그녀가 아름답다는 것에 이의를 달 사람은 없을 것인데. 심지어 이렇게 연기를 못해도 미모에 토를 다는 사람은 없지 않은가 말이다. 아무리 얼굴을 구겨도 그게 장면에, 상대 인물과의 호흡에 맞는 반응이면 아름답고 재밋는 것이란 것을 왜 몰러!  연기 경력 몇년인데. 보는 사람이 어색해서 눈을 어따 둬야할 지 모르게 하다니.

텔레비젼 드라마에서는 그게 덜하던데. 이쁜 짓만 해도 되게 드라마가 쓰여지고 연출되어져서 그런건지, 그녀가 텔레비젼을 더 편안해 하는 것인지.

특히 외국인들과 작업했던 이 신화에서는 일종의, 뭐랄까, 주눅이 들어보였다. 그녀가 성룡과 어느 해외 영화제 같이 갔을 때의 사진들에서도 느낀 것인데, 이 주눅이 그녀를 무지 억압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렇게 발랄하게 옷도 잘입던 그녀가 갑자기 창의력 제로의 안전지향주의로 가더라. 재미도 없고 개성도 매력도 전혀 없었다. 나이 들면서 참한 동양여인의 이미지를 만들고 싶었던 것일까? 안어울린다. 시골사람이 최대한 힘주고 도시 파티에서 간 것처럼 안쓰러웠다. 

그냥 자유롭게, 행복하게, 생긴 대로, 그렇게 연기도, 국제매너도 편히했으면 좋겠다.

당신은 어떻해도 이쁘다니깐요!  나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