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 친구 이야기 ㅣ 카르페디엠 19
안케 드브리스 지음, 박정화 옮김 / 양철북 / 2005년 11월
평점 :
무서웠다.
내가 무서워하는 것이 여럿있다. 곤충과 벌레. 귀신. 또 그밖에 많은 것들.
이 책은 그 많은 것들 중에서 진짜 심각한 '폭력'에 대해 말한다.
한 친구네 - 폭력의 주체는 엄마, 대상은 딸.
또 한 친구네 - 육체적 침해는 아니지만 일종의 변주된 폭력의 주체는 아빠, 대상은 아들.
작고 여린 첫째 딸 유디트에게 엄마의 학대는 일종의 삶의 조건, 환경이 되어있었다. 너무 어려서부터 오래동안 지속되어온 것이라, 유디트는 반항을 할 생각도, 도망을 할 생각도 해보지 못했다. 엄마에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기 보다는 자신에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곤 그냥 삶이란 것이 이런 것인가보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이 폭력에는 이유가 없는 경우가 태반이다. 자신이 뭘 잘못했는지 알 수 없기에 개선의 여지도 없다. 예감. 공기의 입자가 변하는 것처럼. 살얼음처럼. 그리곤 엄마의 폭력이 문득 자신에게 쏟아지는 것이다. 이 폭력이란 것이 상상을 초월하는 것이어서, 마구잡이로, 정말 죽음의 공포를 느끼도록 어린아이에게 가해지는 것이었다. 뇌진탕, 온통 멍투성이, 피, 심지어 갈비뼈가 부러지기도.
이 착한 책은 엄마에게도 어린시절 상처가 있었고 고통스러웠고 지금도 고통스럽고 등등의 이해가 가능한 이야기들로 엄마를 단순한 싸이코 악마로 몰아가는 것을 피하고 있다. 그래. 누구나 이유가 있겠지. 그럼에도 나는 참으로 그 엄마가 미웠다. 엄마는 그래도 어른이지 않은가.
모두가 진짜 치료가 치료가 필요하다...
내가 이렇게 아동학대라는 주제에 대해서, 초보자스럽게 격하게 반응하는 것과는 반대로, 작가는 담담하게 그 폭력을 그려낸다. 많이 그런 사례를 다루어본 듯한 느낌이다. 어떻게 인간이 그럴 수가 있느냐고, 사건밖에서 소리지르는 그런 항의가 아니었다. 그 구겨진 인간사를 자신의 일로 끌어안고 있는 느낌이었다. 자신이 속한 인간이란 종이 하는 행태 중 하나더라고. 그리고 그 '행태'에 대해 자신의 할 일을 하고 있었다. 즉 작가로서 성숙하게 보고하고 있었다.
그리곤 또 그렇게 담담하게 희망을 포착해내고 있었다. 인간사에 이유없는 폭력만큼이나, 이유없이 문득 다가오는 따뜻함과 우정을 관찰해낸 것이다. 두 친구 사이에 자라나는 예쁜 마음. 참 착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