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Chen Min (첸민) - Chen Min
Chen Min (첸민) 노래 / 포니캐년(Pony Canyon)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해금과 얼후가 어떻게 다른지 궁금했다.
검색한 결과,
해금의 울림통은 오동나무로 만들고, 얼후는 뱀가죽을 덧입힌다.
해금은 줄이 명주실이고, 얼후는 쇠줄이다.
해금은 줄을 눌러서 소리를 내지만, 얼후는 바이올린처럼 줄을 손끝으로 짚어서 연주한다.
위키피디아에서는 해금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해금은 몽골 지역의 유목민족인 "해부루 족"(해족)이 사용한 악기라 하여 "해금"이라고 한다. 이 악기는 중국에 유입되어 경극 반주에 쓰는 악기인 경호(京胡)로 사용되었다. 이후 한 옥타브가 낮은 음역대로 개량되면서 호금의 일종인 얼후(이호/二胡/南胡)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우리나라에 유입된 시기는 고려 예종 11년(1116년)으로 중국에서 들어와 한국에서 현악기의 하나로서 개량되어 해금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었으며 원형과 가장 비슷한 악기로 알려져 있다. 명주실을 꼬아 만든 두 가닥의 줄의 한쪽 끝에 공명통이 있어서 활로 줄을 마찰할 때 울리는 소리가 난다. 속된 말로 '깽깽이'라 이르기도 한다. 향악 연주에 주로 쓰인다.'
해금이 '원형과 가장 비슷한 악기'라는 것을 이 음반을 듣고 확인했다. 해금이 투박하고 깊은 슬픔을 표현한다면, 얼후는 좀 더 경쾌하고 부드러운 음색을 낸다. 그간 해금과 얼후의 차이점이 궁금했는데 잠정적으로 이쯤에서 결론을 냈다, 물론 내 나름의 방식대로. (참고로 나는 학창시절에 체육 다음으로 음악 점수가 낮았다.)
아쉬운 게 있다면, 중국이나 홍콩, 라오스 같은 곳을 여행하다보면 얼후가 대중적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는 것이 눈에 띄는데 반해(라오스의 루앙프라방에서는 초라한 행색의 거지마저 이 악기를 연주하며 지나가는 사람들의 시선을 끌고 있었다), 우리의 해금은 소수 마니아만이 즐기고 있다는 점이다. 생각난다. 고입연합고사에 해금을 묻는 음악문제가 나왔었다. 1970년대 중반의 일이다. 그때나 지금이나 '해금'하면 대금 비슷한 악기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다.
이 음반(얼후)으로 듣는 리베르탱고, 가슴을 쿵쿵 찌르는 듯한 묵직한 아픔 같은 멜로디가 도시풍의 세련미로 치장되었지만 어딘가 허전하다. 버터 바른 맛 같은 느끼함, 별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