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부터 읽기 시작한 이 분야가 자못 흥미롭다.















국내 저자의 책이라 가독성이 좋아 재밌게 읽었는데...지금 재독하려고 하니 완독한 지 일 년도 안됐건만 새롭게 다가온다. 책을 다 읽었다는 게 뭔지, 내 자신이 좀 한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빨리 읽었다고, 이미 읽었다고, 자랑할 일이 아니다.
















<향신료 전쟁>에서 기본을 닦고 읽으니 내용 파악은 쉬웠으나 좀 더 정밀한 집중력이 필요했다. 시간이 좀 걸렸다. 다시 읽고 재차 내 것으로 소화하고 싶으나 왠지 학생이 된 느낌?















며칠 끙끙거리며 읽었다. 휘리릭 페이지가 넘어가지는 않으나 읽다보면 어느새 끝이 보인다. 물론 재밌는 건 마찬가지.


와중에 책을 한 권 발견했다.















자비에르가 스페인어로는 하비에르라는 사실을 몰라서 그간 이 책의 존재를 몰랐다. 억울한 심정.

프란치스코 자비에르는 누구? 16세기 동남아시아 일대, 일본에서 기독교를 전파했던 선교사로 이 분을 빼고는 동남아시아와 일본의 기독교를 논할 수 없다. 


https://blog.aladin.co.kr/nama/1113975


2007년의 마카오여행기에 자비에르를 발견(?)한 놀라움을 기록했었다. 이 놀라움이 왜 계속되냐면, 잊을만 하면 곳곳에서 조우하기 때문이다. 인도의 고아, 말레이시아의 말라카, 마카오, 필리핀의 세부(작년에 갔었는데도 벌써 가물가물하다.) 에서 이 분을 기리는 성당을 보았다. 그래서 늘 궁금했다. 책이 나올만 한데... 바로 위의 책도 그 궁금증에서 나왔다고 한다. 게다가 발로 뛴 책. 주문을 넣고 기다리는 중이다. 기왕이면 일본의 나가사키에도 가볼까... 모색 중.


몇년에 걸쳐 두고두고 하는 공부가 좋다. 독서에도 주제가 있으면 더 재밌다. 아직도 가슴이 설렌다. 책을 발견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다음은 <욕망의 향신료 제국의 향신료>에 실린 글이다.


p. 355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반다제도 주민을 학살했고, 경쟁 관계에 있는 섬들의 육두구 플랜테이션 농장을 파괴했으며, 몰래 거래했다는 이유로 원주민을 가혹하게 처벌했다. 그들은 향신료 교역을 거의 완벽하게 독점했기에 막대한 이익을 거두었다. 네덜란드의 황금시대는, 그 시대의 건물, 운하, 렘브란트의 그림, 과학, 프로텐스탄트 계몽운동은 부분적으로는 말레이군도 사람들의 고통으로 일궈낸 것이다.


30년도 더 된 일이지만 만약 암스테르담의 운하에 가보기 전에 위의 책들을 읽었더라면 여행의 방향은 더 선명해지고 나라는 인간도 지금보다 나을 텐데...하는 아쉬움을 이제야 깨닫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