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은 나의 독서 기록이 독서 행위를 따라가지 못한다. 리뷰나 페이퍼 쓰는 것은 점점 시들해지고 있으나 그나마 책 읽기에 몰두할 수 있어 다행이지 싶다. 리뷰나 페이퍼 쓰기는 공허하고 무의미한 웅얼거림 같아서 마음이 자꾸 가라앉는다. 그래도 좋은 책은 울림이 강하다. 무기력을 일으켜 세우는 힘이 있다. 바로 이 책. 책에 몰입하다보니 집 나갔던 기운도 돌아온 기분이 들었다. 그리고 바로 이 부분. 총 455쪽 중 178 ~ 179쪽에 있는 반딧불 얘기는 강렬한 인상을 주면서 결말을 암시하는 듯했다. 다 읽고보니 역시 그랬다. 다른 것은 다 잊더라도 이 부분만큼은 기억하고 싶어서 옮겨본다.

 

 

   카야는 탁한 눈으로 멍하니 밤에 낙서하는 반딧불을 바라보았다. 병에 반딧불을 잡아 수집한 적은 없었다. 병에 가둘 때보다 풀어놓고 관찰할 때 훨씬 더 많이 배울 수 있다. 암컷 반딧불은 꽁무니의 불을 깜박여 수컷에게 짝짓기 준비가 되었다는 신호를 보낸다고 조디가 말해주었다. 반딧불은 종마다 불빛 언어가 다르다. 카야가 지켜보는 사이 어떤 암컷들을 지그재그 댄스를 추며 점, 점, 점, 줄, 이렇게 신호를 보냈지만 또 전혀 다른 패턴으로 춤을 추면서 줄, 줄, 점 신호를 보내는 것들도 있었다. 물론 자기 종의 신호를 잘 아는 수컷은 그런 암컷만 찾아서 짝을 지으려고 날아간다. 그리고 조디의 표현을 빌리자면 대다수 생명체가 그러듯 서로 엉덩이를 비벼 새끼를 만든다.

   카야는 문득 벌떡 일어나 앉아 주의를 집중했다. 암컷 한 마리가 암호를 변경했다. 처음에는 올바른 줄과 점의 조합을 반짝거리며 자기 종의 수컷을 끌어들여 짝짓기했다. 그러다가 언제부턴가 다른 신호를 반짝거렸고, 그러자 다른 종의 수컷이 날아왔다. 그 암컷의 메시지를 읽은 두 번째 수컷은 짝짓기 의사가 있는 자기 종의 암컷을 찾았다고 확신하고 암컷의 머리 위에서 체공했다. 하지만 별안간 그 암컷 반딧불이 다리를 뻗더니 입으로 수컷을 물어 잡아먹었다. 여섯 다리와 날개 두 쌍을 모조리.

   카야는 다른 반딧불을 바라보았다. 암컷들은 원하는 걸 얻어낸다. 처음에는 짝짓기 상대를, 다음에는 끼니를, 그저 신호를 바꾸기만 하면 됐다.

   여기에는 윤리적 심판이 끼어들 자리가 없다. 악의 희롱이 끼어들 자리가 없다. 다른 참가자의 목숨을 희생시켜 그 대가로 힘차게 지속되는 생명이 있을 뿐이다. 생물학에서 옳고 그름이란, 같은 색채를 다른 불빛에 비추어보는 일이다.

 

 

이 소설의 끝부분에 나오는 <반딧불>이라는 시는 이 작품의 결말을 드러내는 멋진 장치가 되는데, 직접 읽어보시길.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0-07-30 11: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07-30 15:2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