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우리는 1
히로유키 니시모리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1999년 7월
평점 :
품절


이 작품은 <상남 2인조>와는 반대의 스토리다. 문제아라기보다는 문제아를 동경하는 두 녀석이 문제아가 되려고 기를 쓰는 내용이다. 오늘부터 우리는 문제아다, 또는 오늘부터 우리는 날라리다, 또는 오늘부터 우리는 불량한 학생이 되겠다 라는 말이 생략된 것이라는 것을 읽으면서 느낄 수 있다. 읽으면서 주인공의 이름을 잘 기억하지 못하는 나는 자꾸만 <상남 2인조>의 영길과 용이처럼 미츠하시와 이토를 착각하기도 했다. 그 정도로 비슷한 생각이 든다.

새 학교에서 미츠하시는 튀어 보겠다는 일념으로 머리를 금발로 염색한다. 미용실을 나오다가 그는 성게 머리를 한 이상한 녀석과 부딪힌다. 그 녀석이 바로 이토다. 그들은 학교에서 다시 재회하고 서로를 싫어하지만 공통의 적으로 인해 의기투합한다. 과연 그들은 생각대로 폼나게 학교 생활을 하게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남 2인조 1
Toru Fujisawa / 학산문화사(만화) / 1998년 11월
평점 :
절판


2인조 그러니까 조폭이가 연상된다. 단짝이라고 말을 해도 좋았을 것을 말이다. <삼총사>도 3인조라고 말하면 그 어감이 기분 나쁘게 들린다. 이것은 시대를 반영한다고 생각된다. 엽기가 21세기 문화코드처럼 자리를 잡은 요즘 더 이상 미화시키고 아름답게 꾸미는 것을 사람들은 싫어하게 되었는지 모른다. 그래서 학원 폭력물이 난무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본 작품이 이 작품이 아닌가 생각된다. 뭐, G. T. O.라고 말을 하던데 난 그 뜻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 작품과 <반항하지마>, <오늘부터 우리는>같은 작품들이 이에 속한다고 한다.

영길이와 용이. 문제아 2명이 과거를 청산하고 전학을 간다. 이유는 단 하나, 여자를 사귀기 위해서. 그 동안 여자를 사귀지 못한 것이 한으로 남은 이들은 여자 사귀기에 혈안이 되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과거가 조금씩 드러난다. 과연 이들은 숙원 사업이 성공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모는 엉뚱해 1
사쿠라 모모코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00년 6월
평점 :
절판


애늙은이 모모! 할아버지의 단짝 친구! 모모는 귀여운 여자아이다. 할아버지, 할머니, 아빠, 엄마, 그리고 언니와 함께 산다. 이런 가족 구성은 <검정 고무신>과 비슷하다. 3대가 함께 사는 정다운 가족! 지금은 찾아보기 힘든 구성이지만 내가 어릴 적에는 흔한 집안 풍경이었다. 모모의 학교 생활도 평범하다. 친구들과 함께 놀러 다니고, 잘난 척하는 친구를 싫어하지만 그렇다고 요즘처럼 왕따나 이지메를 시키지는 않는다.

가난하지만 그런 가난까지도 즐겁고 행복한 기억으로 만드는 상황이 잔잔한 감동을 준다. 마치 우리 어린 시절의 이야기 같다. 그 시절의 아름다운 사람들은 지금 모두 어디 가서 메마른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는지 알 수가 없다. 하지만 현실이 아름답지 못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과거를 더 미화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추억을 회상할 수 있는 좋은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역을 찾는 탐정
마틴H.그린버그 지음 / 리더스다이제스트 / 1995년 11월
평점 :
품절



이 단편집에서 내 눈을 든 작품은 두 작품뿐이었다. 하나는 아이작 아시모프의 <마술사가 찾는 여인>이고, 다른 하나는 렉스 스타우트의 <대역을 찾는 탐정>이다. 역시 이번 작품집에도 말도 안 되는 제목의 번역이 눈에 띄었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작품은 원제가 <The Cross of Lorraine>다. 번역하면 <로렌 십자가>다. 로렌 십자가는 고유명사처럼 쓸 수 있는 단어로 굳이 <마술사가 찾는 여인>이라고 엉뚱한 제목을 붙이지 않아도 되는 말이다. 2차 대전 자유프랑스라는 단체가 사용한 상징물이기 때문이고 이 말 자체가 이 작품의 중요한 소재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한 마술사가 버스에서 만난 한 여인을 찾는 단서로 로엔 십자가를 제시하자 흑거미 클럽 회원들이 그것을 푸는 내용이다. 이 작품은 아가사 크리스티의 화요일 클럽을 연상시킨다.

렉스 스타우트의 <대역을 찾는 탐정>은 네로 울프에게 살해 협박장이 날아들자 울프가 자신 대신 위험을 무릅쓸 대역을 찾아 범인을 찾는 내용이다. 변함없이 아치 굿윈이 나오지만 그의 활약이 별로 없어 아쉬웠다. 하지만 작품은 아주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표범은 밤에 사냥한다
마틴H.그린버그 / 리더스다이제스트 / 1996년 10월
평점 :
품절



이번에는 열 두 작품 중에 세 작품만이 읽지 못한 작품이었다. 1권에서처럼 여기서도 루스 랜들의 <The Fever Tree : 열병 나무>를 <표범은 밤에 사냥한다>라는 요상한 제목을 달아 놨다. 참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루스 랜들의 <열병 나무>는 추리 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들 사이에서는 유명한 작품인데 말이다. 릴리언 데 라 토레의 결혼 소동>, 마크 트웨인의 <흰 코끼리 도난 사건>, 마이클 길버트의 <아프리카 나무 해리>는 처음 접하는 작품들이다.

<이중 결혼 소동>은 중혼죄를 엄하게 다루는 서양의 법을 교묘하게 빠져나가는 공작 미망인의 이야기다. 자신의 변호사까지도 감쪽같이 속이다니 재미있는 작품이었다. <흰 코끼리 도난 사건>은 읽으면서 마크 트웨인이 경찰을 풍자한 거라고 생각하면서 읽었다. 그렇지 않다면 그의 명성만큼이나 실망을 할 테니까. <아프리카 나무 해리>는 너무 종교적인 이야기다. 종교를 위해 테러까지 일삼는 집단이 한 신부와 작은 마을을 광적으로 만드는 내용이다. 이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작품은 <이중 결혼 소동>이다. 마지막의 결말의 반전이 독특한 마음에 드는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