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8년 출간된 이래, 영국인들의 커다란 자부심이자 대대로 물려읽는 명작이라는 평을 받고 있는 아동문학의 고전 <버드나무에 부는 바람>이 완역본으로 나왔다. 같은 출판사에서 두 권으로 낸 책의 개정판으로, 작가 소개, 작품 설명, 등장 인물 소개를 덧붙였다.

이 동화는 케네스 그레이엄이 시력이 약한 아들 앨러스테어를 위해 쓴 이야기로, 새로운 것을 좋아하는 두꺼비 토드, 영리한 물쥐 워터 래트, 마음이 따뜻한 오소리 배저, 호기심 많은 두더지 모올이 펼치는 아기자기한 일상과 모험이 따뜻하게 그려진다.

사색적이고 시적인 문체, 눈 앞에서 직접 사건이 일어나는 광경을 보는 듯한 섬세하고 생생한 묘사가 돋보이는 동화로, 앞을 잘 보지 못하는 아들을 위해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을 글로 그려낸 아버지의 사랑이 절절하게 느껴진다. 특히, 아름다운 전원 풍경과 사랑스런 동물들의 모습을 담아낸 일러스트는 일품이다.

옥스퍼드 살인 사건에도 나오더니 또 나왔다. 콜린 덱스터가 좋아한 작품인가???

 미국의 신문기자, 풍자작가로 이름 높았던 앰브로스 귀넷 비어스의 대표작이다. 표제가 '악마도 배꼽을 잡고 웃으며 통쾌해 했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하니, 책이 이야기하는 바를 넌지시 알 만하다. 이른 바 '단어 비꼬기' 사전류의 효시이다.

이 책은 사전의 의미를 완전히 뒤집어 놓았다. 책에서 풀어놓은 단어들은 세상사가 교묘히 숨기고 있는 숨어있는 뜻을 끄집어내고, 세상의 주도권을 잡고 있는 것들을 날카롭게 풍자한다. 종교와 정치, 역사, 예술을 비롯하여 도덕과 애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해 날카로운 풍자를 펼친다.

예를 들어보자. 비어스는 '감동'을 심장의 명령으로 머리를 쇠약하게 만드는 질병으로, '영향력'을 정치에서, 상당량의 금화와 바꿀 수 있는 가공의 물건으로 풀고 있다.

흔히 비어스가 삐딱한 시선이 당시의 시대상황과 사생활 때문이라고 하는데, 그는 남북 전쟁의 비참함과 전후의 타락하고 부패한 정치상황을 모두 겪었다. 또한 부인과의 관계도 평탄하지 않았던 점 역시 한 몫을 했을 것이라고 한다. 독설과 유머, 세상의 허위를 꿰뚫는 시선들은 한층 책의 매력을 높인다.

 겉모습으로 판단하지 않는 사람들은 어리석다. 세상의 가장 큰 수수께끼는 보이지 않는 것이 아니라, 보이는 것이다.

 

 

  

  하지만 달갑지 않은 소식을 처음 전달하는 자는 파면될 뿐이다.

 

 

  『지하생활자의 수기』는 유례가 없는 긴 독백형식으로 쓰여진 놀랄만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도스토예프스키의 대작들에서 발견되는 예술적 모티프의 밑바탕을 내포하고 있다. 작품의 주인공은 사회의 어디에도 적응할 능력이 없는 사람이다. 그는 삶에 대한 은폐된 불안과 은밀한 증오에 시달리며 철저히 고립된 곳에 도피처를 마련한다. 뿌리가 박탈된 이 '지하실의 남자'는 시대에 적대함으로써만이 자신을 주장할 수 있는 적의에 찬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그는 이 초라하고 고독한 공간에서 바깥 세상의 가치있는 모든것들을 비웃으면서 자신의 존재를 입증하려고 한다. 앙드레 지드는 이 작품을 가리켜 "도스토예프스키의 전작품을 이해할 수 있는 열쇠"라고 평했다. 지극히 반어적이고 신랄한 톤으로 쓰여진 이 작품이 발표되기 전까지 도스토예프스키는 단지 러시아 문단의 일류작가에 지나지 않았다면, 이 작품이 발표된 다음에 그는 인류를 위해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세계적 천재가 되었다.

인간은 가설과 추상적인 연역 논리를 선호해서 고의로 진실을 왜곡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의 논리를 정당화하기 위해 오감이 알려주는 명백한 증거를 부인하는 경향이 있다. 

 그대는 간음이란 죄를 저질렀다. 하지만 그건 나라 밖에서 벌어진 일이었고, 게다가 정을 통한 그 여자는 이미 죽었다.

 - 몰타섬의 유대인 -

 

 

 서쪽은 아직 해가 지지 않았도다.

 제때 여관에 다다르기 위해

 이제 늦은 여행자들의 발걸음이 빨라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anda78 2005-08-02 16: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른 책에서도 간간이 나오는 게.. 정말 영국인들의 자부심인가 봐요. ^^

물만두 2005-08-02 17: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자주 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