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메디컬 사이언스 2
지나 콜라타 지음, 안정희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작품은 과학이나 의학 분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한번쯤 읽어야 하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누군가 이런 말을 했었다. 지구상 모든 병을 치료할 미래가 온다고 해도 단 하나 치료할 수 없는 병이 있으니 그것은 감기라고... 감시 바이러스는 너무 자주, 쉽게 변종이 생기기 때문에 인간이 백신을 개발했을 때는 이미 그 전 감기가 아닌 다른 감기라 그 백신의 효과가 없어진다고 한다.

1918년 그렇게 위대하다는 나라 미국에서 전염병이 돌았다. 그리고 전 세계를 휩쓸었다. 그것은 독감!!! 마치 얼마 전 일어났던 사쓰처럼... 독감이 전 세계로 번질 수 있었던 것은 그때가 1차 세계 대전 시기이기 때문이다. 병사들의 이동은 잦았고, 병사들은 집단으로 모여 훈련을 받다 감염되어 쓰러져 죽고, 더러는 그 병을 고향으로 옮기고 다른 나라에도 옮겼다.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리고 왜 그렇게 치사율이 높았는지도 모른다. 어떤 과학자가 한 말이 생각난다. 미래 인류는 모든 병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다. 단 한가지 감기만 빼고... 감기 바이러스는 해마다 변종을 일으켜 밝혀 낼만 하면 다른 것이 생기고 해서 과학자를 애 먹인다고 한다.  

이 작품은 1918년 스페인 독감에 대한 이야기지만 감기가 얼마나 무섭고 치명적인 인간의 목숨을 빼앗아 갈 수 있는 질병인가를 잘 보여주는 동시에 얼마나 쉽게 간과되는 질병인가 하는 것도 알 수 있게 해준다. 이 작품이 싸쓰가 발병했던 즈음 등장했다면 아마 지금보다 더 많이 팔리고 센세이션을 일으켰을 텐데 역자와 마찬가지고 나도 아쉽다. 

이 작품에는 또한 조류 독감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독감의 발원지로 추측되는 곳이 중국 광둥성이라는 사실도 등장한다. 우리 나라와 얼마나 가까운 곳에 감기의 진원지가 있는 가를 깨달을 때, 그것이 추측일 뿐이라 해도 우리는 이에 대처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하늘을 자유롭게 날아다니는 새도 중국에서 날아오고, 황사도 중국에서 날아온다. 거기에 섞여 감기 바이러스가 들어오지 않으리란 보장이 있다고 믿는 것인지... 

이것은 인간에 대한 일종의 경고가 아닐까... 인간이 아무리 잘났다고 해도 바이러스 손바닥 안에 있을 뿐이고 그 바이러스는 인류 전체를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있다는... 그러니 자연에 순응하고 얌전히 살다 가기를... 이 책을 읽으면서 과학자들의 암투와 정치인들의 교묘한 술수가 포함되어 있어 또 한번 씁쓸한 마음이 들었다. 아니 독감을 연구하고 치료하는데 왜 과학자들은 저들끼리 인간의 목숨을 가지고 싸우고, 정치인들은 시민의 목숨을 담보로 전략을 짜는 것이냔 말이다. 이러니 바이러스가 인간을 우습게 볼만하지 싶다. 다음 독감에 대비해서 마스크 사 뒀는데 그거나 잘 사용하고 깨끗하게만 힘써야겠다. 나머지는 과학자들이 알아서 하겠지... 이 책보니 예방 주사도 맞아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된다. 

좋은 점은 각주를 일일이 모두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 점에 대해서는 만족하지만 그 각주가 페이지마다 손쉽게 찾을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맨 뒷 페이지에 모여 있어 찾아보기 불편하게 되어 있어 불만스러웠다. 원래 책이 이렇게 만들어진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런 두꺼운 책을 읽는데 불편함을 초래하는 일이라 생각된다. 그러니 앞으로 각주는 그 페이지마다 독자가 손쉽게 볼 수 있게 달아주었으면 한다.

이 책에서는 모든 것이 가정이고 추측이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경각심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알지 못하는 상황이라지만 스페인 독감이 전 세계에서 2천만의 목숨을 앗아갔다. 지금 남한 인구의 절반에 해당된다. 우리가 사라질 수도 있는 위험한 것이 독감인 것이다. 이 책을 부디 보건 당국이 읽고, 학교에서 교재로라도 채택해서 예방책을, 최소한의 것이라도 마련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