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체를 사는 남자
우타노 쇼고 지음, 김성기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에도가와 란포는 일본 추리문학계의 거장이자 선구자다. 일본 추리 소설의 아버지다. 서양 추리소설의 아버지가 에드거 앨런 포이고 그의 이름을 일본식 필명으로 만든 것이 이제는 일본을 넘어 세계적으로 유명한 인물이 되었다. 일본 추리소설계에서 에도가와 란포를 빼고 추리소설을 이야기할 수 없다. 그런 그를 작품에 등장시켜 작가는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우타노 쇼고의 작품은 그런 시도만으로도, 에도가와 란포의 작품을 곳곳에 배치시키고 연상하게 만든 것만으로도 읽는데 재미를 느끼게 만든다.  

작품은 액자소설을 표방하고 있다. <백골귀>라는 추리소설속 이야기가 반을 차지하고 나머지 반은 현실 속에서 <백골귀>를 쓴 작가와 절필한 노 작가와의 이야기가 교차하며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고 있다. 추리소설 <백골귀>는 1930년대를 무대로 글이 안써지자 자살을 시도하다 한 젊은이에게 저지당한 에도가와 란포가 그 청년의 기이한 자살의 내막을 밝혀내는 이야기다. 여기에서 에도가와 란포는 그의 지기이자 자살한 청년이 읽던 시집의 시인인 하기와라 사쿠타로와 마치 왓슨과 홈즈처럼 작가가 아닌 탐정이 되어 직접 추리를 한다.  

한편 책의 첫머리를 장식한 잡지에 연재되던 <백골귀>라는 작품이 연재가 중단되게 되는 사건을 현실에서는 다루고 있다. 잡지에서 <백골귀>라는 추리소설은 절필을 했지만 왕년에 유명했던 작가 호소미 다쓰토키의 눈에 띄어 그을 사로잡는다. 호소미는 잡지사를 통해 그 글을 쓴 자신의 팬이라는 신인 작가 니시자키를 만나 그 글을 쓰게 된 경위를 물어본다. 그러면서 이야기는 기묘하게 흘러간다. 니시자키는 란포 중독자다. 와세다 대학 경제학과를 다니며 아케치 고고로가 살았을 법한 집에서 사는 독특한 젊은이다. 란포 중독자와 절필 작가의 만남은 에도가와 란포가 등장하는 작품만큼이나 호기심을 자극한다.  

에도가와 란포가 썼음직한 분위기를 풍기는 작품, 월애병, 시집과 같은 방식의 자살, 쌍둥이가 등장하고 에도가와 란포의 취향과 그 시대 그가 어떤 것에 관심이 있었으며 - 동성애에 대한 동경같은 - 누구와 친하게 지내고 글이 안써지면 집을 나와 떠돌았고 자신의 작품에 자신감이 없었다는 점은 작품을 통해 처음 알게 된 사실이다. 작가는 하나의 작품, 추리소설의 완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닌 에도가와 란포가 만약 이런 사건을 접했다면 어떤 행동을 했을까에 더 초점을 맞춰 글을 쓴 느낌을 준다. 그렇기에 작품속에서 에도가와 란포의 작품들이 그대로 묘사되거나 비슷한 분위기를 내고 인용되고 하면서도 위화감없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게 쓴 점이 돋보인다.  

그렇다고 작가가 자신의 우타노 쇼고가 가진 능력인 반전을 구사하지 않은 건 아니다. 그저 좀 작가의 작품으로는 초기 작품이고 십여년 전 작품이라 그다지 놀랍지 않을 뿐이다. 중요한 건 액자소설답게 소설과 소설 속 소설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느냔데 작가는 마지막까지 잘 발란스를 맞추고 있다. 나는 제목을 왜 <시체를 사는 남자>라고 정했을까 의아했었다. 그냥 <백골귀>라고 하는 게 낫지 않았을까 생각했는데 역자의 글을 보고 아~ 그렇게 깊은 뜻이 있었구나 알게 되었다. 역시 이런 점이 원작을 읽느냐 번역작을 읽느냐에 대한 미묘한 차이라 생각되니 좀 안타까울 뿐이다. 우타노 쇼고의 또 다른 작품을 읽을 수 있어, 그 안에서 에도가와 란포를 탐정으로 만날 수 있어 좋았던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