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트라베이스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유혜자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작품을 읽으면 언제나 감탄하게 된다. 그저 담담하고 조용하게 누군가 친한 사람에게 말하듯이 써 내려가는 그의 글은 쉬우면서도 철학적이다. 가끔 그가 천재라는 생각을 할 때도 있다. 천재가 아니라면 이런 글을 쓸수 없을 테니까. 단순하면서도 심오하고 편안하면서도 가슴에 와 닿는 것을 말이다. 국립관현악단 콘트라베이스 주자의 고뇌를 담담하게 독백하는 모노 드라마다. 콘트라베니스에 대한 이야기.

어떻게 만들어졌고 모양은 왜 그렇게 추하게 되었으며 콘트라베이스만을 위한 작품이 없으며, 있다고 하더라도 전혀 알려지지 않은 작곡자들의 곡이라는 불만과 유명한 작곡자, 모차르트, 바그너에 대한 혹평, 사랑하는 소프라노 세라에 대한 갈망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하고 싶지 않고 폼 나지 않은 콘트라베이스 연주를 과감하게 그만두지 못하는 소시민의 갈등이 공감대를 형성한다. 콘트라베이스라는 악기 하나가 이런 좋은 작품의 소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다.

콘트라베이스는 폼 나거나 주목받는 악기가 아니다. 크기는 바이올린이나 첼로보다 크지만 그런 악기보다 주목받지 못하고 바이올리니스트나 첼리스트보다 못한 대우를 받는다. 그들은 연주자로서가 아닌 관현악단의 구색 맞추기의 일원일 뿐이다. 작품의 주인공은 이런 현실을 작품 속에서 푸념한다. 자신이 알고 있는 사실과 그 사실을 인정받지 못해 고뇌하고 그러면서도 어쩔 수 없이 이 일을 계속해야 하는 자신에 대한 혐오감마저 깃들여 있다.

이것은 단순한 콘트라베이스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 현대인의 고뇌를 콘트라베이스라는 악기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작품을 읽어보면 자신의 이야기라고 느낄 것이다. 자신이 보 잘 것 없다고 생각하고 자신의 일이 좀 더 대우받지 못하는 데 속상해 하면서도 그 일을 계속하는 자신에게 날마다 실망하며 살아가는 자신을 느낄 수 있다. <비둘기>와 마찬가지로 사회의 소시민의 심리를 잘 표현한 작가만의 아주 독특한 작품이다. 읽으면 읽을수록 매료되는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