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떠난다
장 에슈노즈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2년 5월
평점 :
품절


인생에 되는 일이 하나도 없고 매사 꼬여만 가는 느낌이 들 때가 있다. 그때 사람들은 돌파구를 찾기 마련이다. 페레처럼 보물찾기에 나설 수도 있고 사랑을 찾아 헤매기도 하고 아니면 자포자기할 수도 있다. 끊임없이 그렇게 무언가를, 누군가를 찾아 헤매다가 결국 멈춰서는 곳이 우리가 떠났던 바로 그 자리라는 것을 알았을 때의 황당함, 당혹감, 서글픔이 인생이 아닐까. 푸쉬킨의 간단한 그 시,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하지 말라는 그 말을 되새기게 된다.

나는 떠난다. 답답하고 반복되는 질식할 것 같은 일상에서. 언제나 나를 미치게 하는 원시인같은 아내에게서. 점점 침울해지는 일들에서. 쇄빙선을 타고 북극으로 간다. 보물선을 찾아서. 그리고 자신을 스쳐 간 많은 사람들을 잊는다. 무료한 날들을 잊는다. 하지만 너무 쉬운 일은 경계해야 하듯이 그는 보물을 가져온 그날 그 보물을 노리고 있던 미지의 남자에게 빼앗긴다. 그는 자신이 떠난 일상보다 더 끔찍한 절망감에 잠식당한다. 그래도 그는 살아남는다. 그리고 새로운 사람과 새날들을 만들고 보물을 찾고 잊었던 사람들과 조우하지만 그가 떠났듯이 그들도 그에게서 떠나가고 그는 다시 자신이 떠난 곳으로 발길을 돌린다.

이 작품에는 여러 가지 삶의 상징이 들어 있다. 페레가 보물선에서 골라 온 괜찮았던 은여우 모피가 와서 보니 털은 다 빠지고 가죽은 얼었던 게 녹으면서 상해서 쓰레기로 변한 것을 발견한 장면은 자신이 고른 것이 과연 빛나는 보물만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고, 이혼을 위해 법원에서 기다리다 잠깐 잡지를 보던 그는 1초만 있으면 자신의 없어진 보물에 대한 단서가 될 남자가 우연히 찍힌 사진을 볼 수 있었지만 그것을 보지 못하고 덮고 만다.

이것은 인생에서 원하는 증거나 단서는 등잔 밑이 어둡다는 말처럼 눈앞에 있지만 그것을 발견하지 못하는 우를 우리는 항상 범하고 스쳐 지나가는 법이라는 것의 상징 같다. 엘렌의 변심은 인생의 주체는 결코 자신만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래서 항상 나는 떠난다고 생각하지만 실상 누군가 나를 떠나는 것이기도 한 것이다. 이런 상징들은 그의 작품을 읽으면서 느끼게 되는 사소한 의문점들에서 눈을 돌리게 하고 실상 그것은 그다지 중요한 것이 아님을 알게 한다. 그러므로 들라에의 죽음, 빅투아르의 실종, 엘렌의 등장, 페레가 마침내 보물을 되찾았을 때 아무 문제없는 해결 등에 대한 의문을 접는다.

페레의 모습은 평범한 사람들의 모습이다. 오정희의 단편 <비어 있는 들>을 연상시키는 작품이다. 그 작품이 무료한 일상에 너무 집착한 글쓰기를 한 반면 이 작품은 그 무료하고 평이한 일상을 추리 기법을 사용해서 읽는 이로 하여금 무료한 읽기를 용납하지 않는다. 이것이 그에게 공쿠르상의 영예를 안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심사 위원들이 말을 잊었다고 한다. 나도 말을 잊었다. 말로 표현하기에는 너무 독특하다. 일상에 대한 나열이... 장 에슈노즈의 작품성을 단적으로 느낄 수 있는 작품이 아닌가 생각된다.

우리는 길이 여러 갈래라고 생각을 한다. 그 중 가장 마음에 드는 길로 가면 그만이고 싫증이 나면 다른 길로 가면 그만이라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한다. 페레는 이혼과 보물찾기를 선택했고, 바움가르트너는 도둑질을 선택했다. 예전의 길을 피해서. 예전과는 아주 다른 길로 떠났다. 하지만 그 길을 따라 가보니 떠난 곳으로 돌아오게 되고 결국 페레는 전처를 찾게 되고 바움가르트너는 더 나쁜 상황에 처한다. 결국 페레와 바움가르트너는 같은 종류의 삶을 선택한 사람들이었다. 나는 항상 떠나지만 언제나 제자리만 맴돌았던 것을 알게 된다. 그것이 반복되는 일상으로 이루어진 인생 아닐까...

그의 작품은 쉬운 듯 어렵고 가벼운 듯 어둡다. 어느 순간 이해한 듯 느껴지지만 뒤돌아서면 다시 되새기게 되고 너무 무심한 그의 글을 읽노라면 오히려 당황하게 된다. 페레의 마지막 발자취는 모든 인생의 발자취다. 자신의 의지로 아내를 떠났지만 애써 돌아가려 한 것은 아니지만 결국 떠나온 곳으로 돌아가게 되는 인간의 회귀 본능은 자신이 버림받자 결국 아내를 찾게 하고 그의 그런 초라함이 떠들썩한 연말의 파티 분위기와 대비되어 더욱 서글프게 남는다. 독특한 구성, 6개월의 시간을 사이에 두고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고 그 구성에 이어 추리 소설의 기법으로 가해자와 피해자를 넘나들면서 결국 하나의 인생, 지루한 보편적 삶을 엿보게 하는 작가의 독특한 글쓰기가 눈길을 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