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좀머 씨 이야기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유혜자 옮김, 장 자끄 상뻬 그림 / 열린책들 / 1999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소년의 눈으로 바라보는 세상은 아름답다. 노년의 눈으로 바라보는 세상도 과연 그럴까. 소년이 특이한 노년을 만났다. 그의 이름은 좀머씨였다. 끝없이 걷기만 하는 이상한 사람, 누군가 말을 걸까봐 겁을 내는 사람, 내버려두라고 말하며 호수까지, 머리가 보이지 않게 될 때까지 걸어 가버린 나이든 사람. 소년은 그저 보고 있기만 했다. 왜냐하면 내버려두라고 말했으니까. 그렇게 소년은 소년을 마감했다.
파트리크 쥐스킨트가 지은 한 편의 동화 같은 이야기다. 읽으면서 작가 본인의 자전적 소설은 아닐까 생각하기도 했지만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문명과 단절되고 싶은 심정을 담은 소설이라는 생각도 했다. 가끔은 정말 무인도에서 혼자 살고 싶은 생각도 든다. 복잡한 세상에 부대끼는 일에 싫증나서. 인간사에서 약간 떨어져 살아가는 좀머씨가 남들 눈에는 이상해 보이겠지만 오히려 아이는 그런 좀머씨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어른들은 자신의 생각을 남에게 적용시키고 강요하려는 경향이 있지만 아이들은 그렇지 않다. 그래서 좀머씨가 호수로 들어갔을 때도 말리지 않았던 것이다. 그건 좀머씨의 삶이었으니까. 누구도 건드릴 수 없는. 좀머씨의 그런 생각과 삶을 이해하고 존중했다면 좀머씨가 그런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을 거라는 생각도 한다. 결국 자신을 내버려두는 곳은 살아 있는 세상에는 결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닐까.
좀머씨는 누구인가. 그는 작가인 파트리크 쥐스킨트이기도 하고 우리들이기도 하다. 전쟁을 겪고 편집증 적인 성격을 보이게 된 좀머씨는 '날 좀 내버려 둬' 라고 하루에도 수십 번 외쳐대는 평범한 사람들의 모습이다. 또한 그를 내버려두지 않는 이웃도 우리들의 자화상이다.
좀머씨는 왜 그렇게 자신을 내버려두지 않는 걸까. 그는 끊임없이 걷는다. 그렇게 걷다가 결국은 호수까지 걸어갔다. 그리고 다시는 나오지 않았다. 그가 내버려두라고 말했다고 그의 마지막을 그저 가슴속에만 담게 된 아이는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작품을 요약한다면 이 책으로 대변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쥐스킨트의 사상이기도 하다. 내버려둠도 하나의 소통, 인간 관계의 단절이 아닌 이해라고 작가는 말하는 것 같이 느껴진다. 물론 이럴 것이라고 짐작할 뿐 사실 잘은 모른다. 그의 책은 쉬운 듯 보이다가도 어렵고 무슨 심오한 철학사상을 담고 있을 것 같은 느낌을 줄뿐이다. 아, 언제나 그의 책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될까.
동화같이 간단한 이야기를 읽으면서 나는 너무 간단해...를 계속 외쳤다.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장점은 너무 잘 읽힌다는 점에 있다. 그의 작품을 고뇌하면서 이해하지 못해 끙끙대며 읽은 기억은 없다. 하지만 읽고 나면 너무 쉽게 지나간 무언가가 가슴에 남아 나를 괴롭힌다. 아마 이것이 쥐스킨트의 가장 큰 단점일 것이다. 마치 장자의 사상을 접했을 때처럼. 어째든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작품은 읽으면 읽을수록 빠져들게 하는 매력이 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는 일임에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