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의 풍금
하근찬 지음 / 바다출판사 / 1999년 3월
평점 :
절판


이미자의 <섬 마을 선생님>이라는 노래가 있다. 이 책을 읽고 이 노래 한 구절을 흥얼거리면 5,60년대의 풍경이 떠오른다. 아무도 돌아보지 않아 고서점의 구석에 박혀 있다가 어느 운명적인 손에 의해 보물로 탄생하는 값진 고서적처럼 이 작품도 처음 <여제자>라는 제목을 달고 세상에 나왔을 때는 별 볼일 없는 작품이었다. 그 작품이 영화 감독의 눈에 띄어 우리 가슴에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작품이 되었다. 이 작품은 그런 연유로 영화를 보고 원작 소설을 읽은 몇 안 되는 작품이 되었다.  

첫사랑이란 이렇게 어설픈 것일까. 책을 읽으면서 엄마가 봤으면 감동했을 얘기네 라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요즘 시대에는 조금 뒤떨어진다는 생각이 들었다. 동생이 먼저 읽어서 '이 책 어때 ?'하고 물었더니 '어, 그냥 읽을만해. 하지만 영화로나 만들어질 그런 얘기야.' 영화를 보지 못해서 뭐라고 할 말은 없지만 마치 옛날 무성영화 시절의 검사와 제자라는 영화제목이 생각났다. 신파 같았으니까. 순순하다고 말하고 싶은 거겠지만 작가의 의도를 따라줄 수가 없어 미안하다.

그냥 촌스러운 꽃무늬 원피스를 뽐내며 입고 있는 그런 느낌이다. 예전에 책제목이 "여 제자"였다는데 그 제목이 어울렸을 그 시절에나 어울리는 책이다. 아무리 제목을 내 마음의 풍금으로 바꾸더라도 유행가 같아서 지금 보면 그때 작가가 바라던 감동은 내기 어렵다. 더구나 나는 이 책을 처음에 신경숙의 "풍금이 있던 자리"로 착각을 했었으니, 아마 이것이 이 책을 읽을 때 느끼는 갭이 아닐 까 생각된다.

그래도 요즘은 시대가 변해서 잘 모르겠지만 우리 때만해도 이런 일이 가끔 있었다. 선생님을 사랑하던 라일락 꽃내음 가득한 5월의 교정의 설레임이. 선생님 교탁에 꽃을 꽂아 놓고, 연애편지 쓰듯 가장 예쁜 편지지에 편지를 쓰고, 방과후 교문 끝에서 선생님을 기다리던 애틋함이 생각난다.

지금 생각하면 촌스럽고 한심한 일이었지만 그때는 목숨걸고 하던 일이었다. 첫사랑이었으니까. 그래서 홍련이의 첫사랑이 예쁘게 다가온다. 추억이니까. 어린 날의 아련한 향수를 자극한다. 내용은 사실 별로 없지만 뭐, 그런 것이다. 우리의 기억에서만 존재하는 일이니까 진짜는 그렇게 낭만적인 일은 아니었듯이 작품 속에서 내 생각이 만나 아름다운 영화를 찍는 것이다. 그것이 좋은 것뿐이다. 

시절이 순수했고, 사람이 순수했고, 가진 것 없어도 행복할 줄 알았던 시대에 시골 학교에서 아마도 진짜 있었던 일일 수도 있을 것이다. 작가의 경험담이라고 하니까 말이다. 점점 순수라든가, 순진이라든가 하는 단어들이 낯설어 지는 현대 사회에서, 점점 선생님과 제자 사이가 멀어지고 사나워지는 사회에서 촌스럽고 바랜 이 작품이 어필하는 것은 그때가 좋았다는 반증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