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한 이웃
김혜정 지음 / 문이당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늘 중심에서 벗어나 변두리만을 떠돌아야 하는 생들의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는 단편집이다. 얼마 전 일본 작가 카쿠타 미스요의 <삼면 기사, 피로 얼룩진>이라는 단편집을 봤다. 그 작품과는 또 다른 관점에서 사회면 기사를 살펴보게 만드는 작품들이 있었다. 기사 자체를 소재로 내용을 만든 일본 작품과는 달리 이 단편집은 그 기사가 중심이 아닌 그 주변 사람들의 이야기도 함께 담아 내고 있다. 단순히 비루하고 남루한 생에 대한 나열이 아니라 그 속을 살아 내야 하는 삶에 대한 살아 있는 시선이 돋보였다. 자극적이지 않지만 삶이라는 것이 던져주는 작은 물음을 생각하게 만드는 작품들이었다.  

<수상한 이웃>은 변두리에 새로 생긴 아파트촌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다. 남의 말 하기 좋아하는 혼자 사는 노파의 살인 사건으로 인해 살인범으로 몰린 조용한 남자와 그 남자에게 한 밤에 봉변당한 뻔한 일을 구조당한 여자의 이야기다. 누가 수상한 이웃일까?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진짜와 가짜를 구별할 수 없게 되어 버렸다. 이웃이 이웃이 아니게 된 지금 어쩌면 모든 이웃이 모든 이들의 이웃인 우리에게는 수상함 그 자체로 다가오는 것은 아닌가 하는 씁쓸한 여운을 남긴다.

<오리, 날다>는 졸지에 아버지를 여의고 배다른 어린 동생 두명을 양육해야 하는 처지가 된 남자의 이야기다. 아버지가 생전에 사온 그림에서 자꾸 오리를 보는 남자는 어떻게든 동생들을 버리고 애인과 함께 아버지가 남겨준 돈으로 청춘의 삶을 살 생각이지만 이상하게 그의 발이 떨어지지 않게 하는 무언가가 있다. 미스터리게 전개되는 과정이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진짜 오리가 날았다고 할 수 있을까? 하지만 오리는 날지 않는다. 그것을 깨닫게 되는 순간이 마음 속에서 오리를 날려 보내는 순간이 될 것이다. 이제 막 관계란 무엇인가를 알아가는, 소통으로 다가가는 젊은이의 이야기였다.

<낭만 고양이>는 고양이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해서 나름의 삶의 고단함을 토로하는 작품이다. 도둑 고양이들이라고 불리는 떠돌이 고양이들이 처음부터 떠돌이는 아니었을 것이다. 야생 고양이가 있었다면 몰라도. 처음에는 누군가의 귀여움을 받던 애완동물이었다가 길을 잃거나 버림받은 것들의 삶, 그래도 시장 한 귀퉁이에서 좋은 사람이 있다 생각하고 살아가고자 하는 이들의 삶이나 인간의 삶이나 그리 다르지 않은 것이 측은하기만 하다.

<등에>는 형에 대한 죄책감을 떨쳐내고자 애를 쓰는 인물의 이야기다. <오리, 날다>와 비슷하면서 다른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형을 뛰어넘고 싶었지만 결코 뛰어 넘지 못한 동생, 그리고 우연히 알게 되어 도움을 준 나타샤라는 러시아 여자를 찾아 헤매는데 그가 찾고자 했던 것은 사랑이었을까? 과거였을까? 삶이 제 맘대로 된다면 그것이 어디 삶이라 할 수 있으랴 하고 삶은 가끔 사는 존재들에게 삶의 녹녹치않음을 알려준다. 알면서 사는 건 살아 있기에 어쩔 수 없는 운명이고. 

<아내의 신부>는 아이를 낳지 못한다는 것이 마음의 병이 되고만 아내를 생각하는 남자의 이야기다. 신부 인형을 만들고 그것을 가지고 있어야 마음을 놓는 아내와 그 이유를 차마 말하지 못하는 남편, 가끔 살면서 지뢰가 하나씩 터지는 걸 느낄 때가 있다. 터지지 않더라도 지뢰를 밟은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그때 누군가를 끌어 안고 함께 가느냐, 아니면 혼자 자폭하느냐의 갈림길에 서기도 한다. 그런 느낌의 작품이었다. 소통할 수 없는 부부란 각기 다른 지뢰를 밟은 사람들이 아닐까. 서로 다른 것을 원하는 부부란 따로 자폭함을 선택한 자들이 아닌가 말이다.

<석구>는 착하기만 한 대학교 동창의 죽음으로 모인 동창들의 회상을 다룬 작품이다. 이 작품에 이승철의 <미스터L의 회상> 한 구절이 나온다. 그 시가 마흔을 넘긴 이들의 마음을 대변하는 것 같아 올려본다.  

내 오래된 살과 뼈들이 뭉쳐
이만큼 오래 살아 준것, 참으로 고맙고
더러 눈물이 났다. 

나이 마흔 넘어 세상을 산다는 건
석양빛 붉은 울음을 제 뼛속마다 고이
개켜 넣은 거라고 그 누가 말했던가
악머구리 끓듯 소랍스럽지 않게
저만큼 서로  한 뼘씩 거리를 둔 채
사금파리처럼 반짝이는 상처의 불꽃들
밤새 안녕하였다는 눈인사를
저 스스로에게 묵묵히 건네며
나는 지금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이런 석구같은 친구는 이제 멸종되었다고 말하는 듯 하다. 하지만 그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누구도 석구같은 친구를 원하지 않고 자신이 되고자 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가슴 한껸 아리다 느낀다. 악어의 눈물같은 눈물을 흘리는 친구, 미안하다는 의미를 몰랐던 친구, 하지만 다시 그가 살아 그들 옆을 어슬렁거린다면 또 다시 귀찮아 하고 창피하게 생각할 친구들, 석구의 멸종은 진정한 친구의 멸종을 의미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서울 야곡>은 노래방 도우미가 되어야 하는 아줌마의 이야기가, <방 씨의 하루>는 교장 선생님과 외모가 빼닮은 일용직 숙직원이 된 방씨의 이야기가, <물 속에서 걷다>는 돈을 벌기 위해 왔다가 불법체류자가 된 조선족 아줌마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모두 같은 이야기다. 언젠가 신문 기사의 작은 사회면에서 본 이야기나 뉴스에 등장했던 이야기들, 그렇게 외면했지만 언제나 우리 주위에 있고 또 주변으로 내몰린 사람들의 이야기, 늘 주변인이기만 했던 사람들 이야기, 주변인에서조차 떠밀리는 사람들의 이야기 속에는 비단 우리가 주변으로 몰아버린 것이 사람이나 동물만이 아님을 알게 된다.  

우리는 어쩌면 사람살이의 기본, 더 나아가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가져야 할 기본적인 것을 잃어가고 있는 것인지 모른다. 생존권보다 더 우선되는 것이 무엇이랴 싶지만 단지 산다는 것만이 전부라면 인간이 세상을 사는 이유가 너무 초라하다 느껴지지 않을까. 행복이란 과연 무엇인지 이들 소외된 삶들을 통해 바라보게 하고자 한 것이 작가의 의도는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