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버지, 건축가 루이스 칸 ; My Architect>>2003.usa.116min
 D :  Nathaniel Kahn
M : Joseph Vitarelli  
1974년 한 기차역 화장실에서 한 행려변자가 변사체로 발견된다. 며칠 후 신문엔 아내와 딸 하나를 둔 파산한 20세기 건축의 흐름에 큰 영향을 낀 루이스 칸의 부고가 실린다. 이 신문을 보고 자신의 존재를 묻는 루이스 칸의 아들 나다니엘 칸의 뿌리찾기가 시작된다.
대외적으로는 건축의 대가였지만, 사생활로 돌아오면 그는 흠이 많은 사람이었다. 흉터가 있는 못생긴 얼굴에 자그마한 키, 가정에 충실하지 못했으며, 심지어는 한 동네에 세 가정을 따로 꾸렸는데, 그의 장례식에서 그 가족들이 첫 대면을 할 정도였다. 그에게는 숨겨진 아들 나다니엘 칸 외에도 앤팅 과의 사이에서 난 또다른 딸 알렉스가 있었다. 아름답지 못한 흉물스런 거대한 건물들만 사방에 늘어놓고, 거기에 세계로 돌아다니지만 돈도 못 버는 유대인 사촌이었음이 그의 사후에 밝혀진다.
그러나 건축가로서의 삶으로 돌아오면 상업성의 실패로 수많은 빚을 지기도 했고, 미완성으로 끝난 건축물이 많았음에도 그가 왜 장인이며 대가인지를 쉽게 알 수 있을 정도로 아들은 객관적으로 공과 사의 두 면을 촘촘히 들여다본다.
'건축이라는 것은 시간이 말해준다'라는 루이스 칸의 말을 가장 잘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캘리포니아 남부의 '숄크 생물학 연구소'였다. 카메라를 방치한 채로 공들여 시간이 흐르면 그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건물의 영적인 느낌이 너무나 멋졌다. Gorgeous!! 바다와 하늘을 향해 열려 있는 콘크리트 비움의 미당에 빛이 수놓는 영상은 건물과 자연의 완벽한 화음이었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이용해 건물의 흠을 드러내 오히려 예술로 만들었던 루이스 칸의 고대의 이미지를 활용한 첫 프로젝트는 스코틀랜드 콘크리트 목욕탕, 리처드 빌딩, 예일아트 갤러리, 텍사스의 켐벨 미술관, 엑스터 도서관, 콘서트 유람선, 인도의회와 의사당 건물에 이르기 까지 그의 삶이었던 건물들의 궤적을 훓어 내려 간다.

필라델피아 재건 프로젝트를 같이 시작했던 에드워드 베킨은 그의 작업을 하나같이 밋밋하고 잔인하고 비극적이라고 악평을 한다. 또한 그의 아이디어는 너무 공상적이라고 덧붙인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현대에 이른 지금 도시 밖으로 차도를 빼버리고 도시 안에선 걷게 하려는 것이나 계단을 원통형으로 만든 것들은 놀랍고 환상적이며, 유용한 아이디어로 여겨진다.
그러나 정작 그의 지인들은 그가 필라델피아 재건의 프로젝트에서 해고된 것은 그가 유대인이라고 밝히진 않았지만 유대인의 피를 필라델피에 수혈하는 것을 보수층이 거부했기 때문이라고 하기도.

아버지가와 자신이 만든 동화책에 있던 미친 보트가 실제로 바다에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았을 때는 무척 놀라웠다. 교향곡 보트라고 알려진 그 강철 보트가 바다에 떠 있는 것도 장관이었지만, 단지 콘서트 용으로 그 배를 수주한 선주도 놀랍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 선주 리처드가 유일하게 6살의 나다니엘을 알고 있었음에 더욱 놀라웠다. 이 영화를 만드는 중에 한 번도 자신의 존재를 아는 사람이 없었는데, 그의 부재가 존재로 떠 오르는 순간이었다.
어머니 해리엇 패터슨이 나다니엘의 존재를 위로해주기 위해 항상 읇조렸던 말은 자신들에게 돌아오기 위해 여권의 주소를 지웠던 참이라고 한 것이엇는데, 그 신빙성 없음에 지쳐가던 나다니엘에겐 참으로 감격스러운 순간이었던 것 같다.

미국내에서도 희비가 엇갈리는 가운데 루이스 칸에 대한 진정한 평가는 방글라데시 다카의 국회의사당 세어-이-방글라 나르르에서 만날 수 있었다. 아버지를 추억하며 건물을 한 5분간 훓어 봤을 때 오히려 화를 내는 사람이 있었다. 5분간 본 것으로 함부로 말하지마라면서. '그는 정치적은 아니었지만 우리에게 민주주의를 줬어. 우리가 가난하지만 희망을 줬어 가족을 위하지 못한 것은 위대한 사람이었기 때문이야.'라며 의상당 건물과 루이스 칸에 대해 얘기하며 눈물과 확신을 드러낸다. 지금껏의 인터뷰 중 루이스 칸에 대한 가장 깊은 이해자인 듯 했다. 모순과 신비로 가득 찼던 아버지의 성과와 실패 그리고 자신의 아픔과의 긴 화해는 놀랍게도 방글라데시의 기념비적인 작품의 아름다움 앞에서 고요하게 이루졌다. 한 평의 감동스런 이야기가 자연스레 연출된 다큐 멘터리였다. (그런데 이 후에 『루이스 칸의 건축철학』을 읽으면서 추가로 짐작하게 된 것인데, 그 책이 1980년대에 나왔고, 이 다큐가 제작된 시점을 짐작해 볼 때 이 감동의 장면은 연출된 것이 아닌가 하는 것이다)

이 영화를 보고 가슴에 남은 것은 칸의 미스터리한 일면과 난잡한 사생활이 아니었다. '사용하는 재료를 존중해야 해, 넘친다고 아무렇게나 사용하면 안돼. 벽돌을 찬미해야 해' 칸이 자주 하던 말처럼 용적과 빛, 그리고 건물의 공간에 대한 모호함이 살아난 거대하면서도 정감있는 그의 건축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