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과 분노의 체크포인트 ; Checkpoint ; Machssomim >>2003. Israel.80min
D : Yoav Shamir
이스라엘 웨스트뱅크와 가자 스트립의 검문소들의 풍경을 가감없이 보여주는 다큐멘터리다. 감독은 3년동안 이러한 풍경을 꼬박 꼬박 담아왔는데, 그걸 보는 나는 정말 저런 일이 벌어지는건가 믿을 수 없는 지경이다.
나블루스, 헤브론 검문소, 가자지구 칸 윤스 검문소, 베들레햄 검문소 앞에는 매일 수백명의 팔레스타인들이 줄을 서서 통행허가를 기다린다. 그러나 이 통과와 불가의 기준이 당췌 있기나 한 건지 알 수 없는 행태가 매일 벌어진다. 보내줄 때 와는 별개로 다시 오고 가지도 못하게 길 바닥에서 자라고 하고, 검문소 주위에서는 비슷한 사정으로 밤을 새는 트럭들이 즐비하다. 억울함을 호소하자 국경경찰에 항의 하라고 이죽거린다. 그러고는 돌아서서 다큐 촬영 기사에게 '나쁜 사람처럼 안 보이게 저 좀 잘 찍어 주세요'라고 말한다.
잃어버린 통행증 때문에 발급 받은 사본을 허락하지 않는 한 검문소에서는 서류를 다시 발급 받으라고 하면서 어머니만 빼고 아이들만 통과시킨다. 애들은 울어가며 엄마를 뒤쫓아오고, 엄마는 그나마 애들도 돌아가지 못할까봐 우는 애를 어지로 떼어내어 돌려 보낸다. 애들의 울음소리가 그렇게나 서러워도 검문소의 군인들은 이건 일이라는 식이다. 
애들이 딱하다며 검문소에서 애들을 어떻게 다루는지 보려는 목적으로 목사가 아이들과 함께 버스를 타고 통과하려고 하자, '여기서 일하는 저는 딱하지 않나요?, 엄마가 그리워요'라고 말하며 통과 시키지 않은 목사와 사진을 찍으려고 애쓰는 철부지인 군인의 모습도 보여준다.
베들레햄 검문소의 한 국경경찰은 누구든 문제 일으키면 진압을 한다고, 고통을 느끼게 한다고 자랑스레 말한다. 검문소를 통과하는 어린 여학생들에게 집적거리는 재미로 하루를 보내는게 아닌가 싶을 정도다. 언어도 소통이 안되면서 마구잡이로 검문하는데, 신인양 기분 내키는 데로 통과, 비통과를 심판한다.
그런 그들이 크리스마스에 라디오로 듣는 노래는 'Amazing Grace'다. 아이러니..
겨울비가 세차게 내리는 하루, 비포장 흙덩이에서 비를 맞으며 뻘 구덩이엣 서 있는 팔레스타인 행인, 비를 맞다가 빗줄기가 세차게 변하자 그들은 비를 피하지만, 행인들은 흙바닥에 비를 고스란히 맞으며 오들오들 떨고 있다. 신원을 확인해 놓고도 즉각 처리하지 않고 자기들 귀찮아서 방치해 둔다.
눈오는 하루, 검문소 앞에서는 통과하지 못한 행인들과 이스라엘 군인들이 눈싸움을 벌이는 때도 있긴 했다. 그래도 '인티파다'운운 하는 조크를 할 수 밖에 없는 팔레스타인들에겐 잠깐의 여흥 밖에 남지 않는다.
한 검문소에서는 한 두명씩 방치해둔 것이 어느새 수백명으로 불어난다. 1시간, 5시간, 10시간......군중들은 분노하고, 그런 군중의 분노에 군인들도 불안해하면서도 그들을 통과시키지는 않는다. 더욱 분노한 군중들이 검문소를 통과하기 위해 우르르 몰려가고, 이 장면은 지금껏 다큐를 보아왔던 울분이 시원스레 뚫리는 대리만족을 경험하게 해준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경계하다 긴장 때문에 발포를 해서 사람들을 위협하는 군인들, 사람들은 다시 무력함에 발길을 돌릴 수 밖에 없다.
검문소에서 사람들을 기다리게 하는 것은 낮부터 밤에도 계속 되는 풍경이다. 신분을 확인하기 위해 가져간 신분증을 방치해둔 채 사람을 밖에 세워뒀다는 사실조차 잊어버린 군인들. 그러다 신분증을 발견하고 '저게 뭐지? 신분증? 돌려줘야 하나? 라고 한 군인이 말하다 다른 군인이 응수한다. '기다리게 놔둬', '언제까지?' '아침까지'. 명령을 하달 받았을 뿐이라고 어쩔 수 없이 그럴 뿐이라지만 그런 조그만 권력도 권력이라고 텃세를 부리는 그들에게 이해보다도 가 닿지 않는 원망만 가득 생겨난다. 그리고 깊은 밤 부엉이 소리는 굶주린 사람들의 메아리마냥 서럽게 들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