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형수 042 3
코테가와 유아 지음 / 세주문화 / 2004년 2월
평점 :
절판
이 만화는 다음 권이 추가될 때마다 읽는 이의 머리에 둔기를 가격하는 정도가 더 커지는 듯한 느낌이다.
광적인 종교집단에 의해 희생적으로 탄생된 괴물을 죽이고 이룩한 공공의 선이 과연 참된 정의인지 골몰하게 했던
전작 "ANNE FREAKS"보다 "사형수 042"에선 좀 더 수위를 올려 아주 고문을 해 볼까 하고 작정한 듯 느껴졌다.
아니 작가의 의도가 뭐였든 간에 읽는 나로서는 심각하게 고민하게 된다.
3권에선 애초의 실험의 오류를 지적한다.
주인공처럼 동정적인 과거와 호감가는 외모, 수동적인 살인유형이 아닌,
모자살해를 상습적으로 저지른 포악한 전형적인 사형수가 실험의 2번째 케이스로 등장한다.
그는 실험에도 비협조적이며, 생명을 중시여기기는 커녕 실험을 진행하는 시이나 박사까지 죽이려고 한다는 설정인데,
여기서 이 만화를 읽는 독자는 (나를 포함하여) 나도 모르게 심판을 내리는 성급한 오류를 범하게 된다.
본 만화의 주인공이고, 동정적인 면모와 감정에 상처를 입고 회복되지 못한 사형수042에게는 사형제도의 폐지와 방면까지 은연중에 바라게 되고,
반대로 2번째의 포악한 사형수에겐 단죄를 내리게 되는 것이다. 아무리 만화라지만 과연 그럴 권리를 누가 준 것일까?
사형제도가 폐지되고 평생동안 종신형의 봉사를 행하게 된다면, 과연 몇달이 지나 평생토록 삶의 의미를 온전히 누릴 수 있을까?
머리에 폭탄이 있는 감정의 억제를 막고 로봇처럼 청소나 하라는 말인데, 어쩌면 사형보다 더 극악한 처벌제도가 아닌가?
또 사형제도를 선택한다 하더라도 그 법을 집행하는 이는 바로 우리 인간인데, 그 죄의 유무를 판결하는 과정의 공정성에 의문을 갖을 수 밖에 없다.
또한 '맹목적인 인권보호'를 무기로 범죄로 인해 공공의 안녕이 위협받을 수 없다는 것 또한 명확한 일이다.
그런 회의적인 생각과 결론 안나는 문제를 가득 안고 있음에도 이 만화를 재밌게 읽을 수 있는 것은
망가짐 캐릭터 연출과 코믹한 대사를 사이에 뿌리지만, 감동적인 에피소드들을 지속적으로 등장시켜
독자를 울고 웃게 만드는 KOTEGAWA Yua, 그 특유의 저력 탓일 것이다.
특히 3권은 피실험체로 다룰 뿐이었던 사형수042를 '인간 타지마 료헤이'로 자각할 수 있었던 시이나 박사의 자각과
그로 인해 실험의 목적에까지 회의를 갖는 에피소드가 크게 다가와서 읽는 이까지 딜레마로 몰고 가는 수작이다.
4권에서도 예의 긴장과 감동을 잃지 말고 잘 이어줬으면 하는 기대와 함께 혹 읽어보지 않은 독자가 있다면 꼭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