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의 사진의 내용만 빼면 다 좋았다ㅡ당시 시대적 상황을 짐작하면 이해가 갈 것도 같다. <나의 투쟁><불안의 서>도 생각 나고 1인칭 시점의 일기는 읽으면 읽을수록 매력있다.

신의 사랑을 받는 자는 젊어서 죽는다. 아무래도 신마저 나를 버린 듯 싶다 만약 신의 은총에서 버림 받았다면 우리는 마지막까지 싸우고, 단련되고, 시련을 이겨야만 한다. 우리 스스로라도 덕을 세워야 한다. 39p


나에겐 희망이랄까, 결단력이랄까 하는 삶의 근본이 될 수 있는 자질이 거의 없다. 대신 고독과 그늘로 몸을 숨기는 날렵함만은 필요 이상으로 지니고 있다. 나는 미치지 않기 위해 독서를 하고,대화를 하고, 글을 쓰고, 학생을 가르친다. 190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LGBT+ 첫걸음
애슐리 마델 지음, 팀 이르다 옮김 / 봄알람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고 싶어요 전에 알고 싶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미니즘과 기독교 - 개정판
강남순 지음 / 동녘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독교 페미니즘은 ˝모든 인간은 신의 형상대로 지음받았으며 따라서 존엄성을 지닌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기독교 페미니즘은 여성의 필요와 상황에 좀 더 큰 강조를 둔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보면, 페미니즘은 여성만의 권익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과 남성 모두의 온전한 삶을 추구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페미니스트란 ‘성별에 관계없이 한 사회에서 여성과 남성 사이의 사회, 경제, 정치, 종교적 정의를 회복하고자 노력하는 사람‘이다. 351p

 



쉽지 않은 내용. 겉핥기식으로 대여책을 읽었는데 단순히 읽는 것에 그치면 수박 아닌 색소 수박맛만 본 꼴이 될 듯... 강남순 교수님 강의를 한번 듣고 싶다. 아트앤스터디에 강의 제안 글을 올림.


사회변혁가로서의 예수님을 믿는다. 부엌떼기나 하라고, 사랑을 저버리라고, 여성과 남성을 가르라고, 부당함을 견디라고 여성을 교회에 부르시진 않으셨을 터인데... 가부장적인 교회 안에서 그래도 빛을 발견하려는 나같은 이들이 있을지 모르겠다.

어제 문득 책을 읽다 말고 ˝하늘에 계신 어머니....라고 주님의 기도를 해보았다. 낯설었다. 아버지를 어머니라 부를 수 있단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 감히 기도문을 바꿔 기도해도 되는지(혼자 소리내는 거도 아닌데..) 몰랐다. 어머니가 되어선 안 되는 이유를 찾을 수 없었다ㅡ시간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나를 더 돌봐준 이는 어머니인데ㅡ ...
저자는 이분화 이분법은 결코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하시는데 큰 틀에서 보라는 것 같다. 즉 많은 공부와 토론 연대 화해 인정 경청 관심 배려 참여 등등 대자비가 절대 필요하다는 말씀이시리라.

한 두곳에 줄을 친 게 아니라 정리하기도 버겁다. 소극적 저항에서☞ 현실에 눈뜨고 ☞새겨두고 ☞적극적인 저항을 하는 여성주의 정체성 발전의 단계가 여기에도 적용된다.
스테판에셀의 분노하라 책도 생각나고.
그리스도인은 희망하는 이다. 기쁨을 전달하는 이다. 복음이란 무엇일지 우리가 넘어야할 산이 높고도 많다.

그러나 한 발짝씩.



페미니스트 신학에서 중요한 것은 여성의 조건을 이상화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신학과 목회의 장에 있는 가부장주의적 이데올로기를 해체하는 것이며 해체 후의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구성적 작업을 하는 것이다. 392p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래노래 2018-01-29 00: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알라딘에서 책고르다 도라님 리뷰를 계속 만나게 되어 오늘은 작정하고 인사드리러 왔네요. 융과 페미니즘 신학 분야 책에 관심이 많아서 도라님 글에서 도움 많이 받았답니다. 요즈음 제 삶의 가장 큰 숙제가 페미니스트 크리스천인지라 겹치는 책이 많았어요. 강남순 교수님 강연 듣고왔는데 가슴이 뚫리는기분이었습니다. 방학 때마다 한국오셔서 강연하시는듯 해요.

:Dora 2018-01-29 08:54   좋아요 0 | URL
그러시군용...융은 읽다보니 페미니즘 신학 책과 일정 부분 겹치더라고요. 저는 이외에도 심리상담 문학치료 뇌과학...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

고래노래 2018-01-29 00:4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자진해서 세례받은지라 이런 갈등폭발의날이 오리라 예상은 하고 발을 들이긴했지만, 예상했다고 덜 힘든건 아니네요. 앞으로도 도라님 책목록 따라 저도 제 길을 찾아보겠습니다.

:Dora 2018-01-29 08:50   좋아요 0 | URL
안녕하셔요 고래노래님 댓글 감사해요. 강남순 교수님 강의가 있군요! 듣고 싶네요. 댓글로 토의토론하며 먼 길 함께 가요~
 
[eBook] 마흔, 혼자 공부를 시작했다
와다 히데키 지음, 장은주 옮김 / 길벗 / 2017년 12월
평점 :
판매중지


저자의 말대로 모든 책을 다 정독할 필요는 없는 것. 인터넷이 되지 않는 공부용 컴을 따로 마련하라까진 좋았는데 그건 공부용이 아니라 글쓰기 용 아닌가? 의사인데 입시학원을 운영하신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고 사랑하고 업적을 남겨라 - 스티븐 코비 지혜의 말
스티븐 코비 지음, 김경섭 옮김 / 김영사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짧은 문구일수록 생각은 많이 하게 됨.

관계에서는 작은 것들이 중요하다. 118p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8-01-20 21: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온라인 공간에서 관계를 형성할 때 ‘미니멀리즘‘을 추구해야 합니다. ^^

나와같다면 2018-01-20 21: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은 것들로 인해 관계를 놓치기도 하죠..

:Dora 2018-01-20 23:1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so, 소소하지만 중요한 관계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