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그레이트북스 81
한나 아렌트 지음, 김선욱 옮김 / 한길사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절대로 일어나서는 안 될 끔찍한 일들이 어째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가   

 최근에 이러한 질문을 했었던 것은 4대강 공사와 관련해서였다. 아무리 보아도 어리석은, 정말로 말도 안 되는 일인데, 벌써 수조 원이 소비되었고 공사는 마지막 단계에 이르렀다. 어디를 보아도 막을 방법은 보이지 않는다. 역사를 보면 이러한 사례는 더더욱 많다. 살인, 폭력, 전쟁, 인간성에 대한 유린....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유대인 학살은 대표적인 그 대표적인 사례 중의 하나이다.

질문에 대한 가능한 답 중 하나는 "인간이 악하기 때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가 악을 저지른 것은 악한 인간이기 때문이다."라는 대답은 흔히 "(나와는 달리) 악하기 때문"이라는 뉘앙스를 띠고 잇는 것 같다. 이것은 특히 집단의 문제에 있어서 그러하다.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 민족이 외세의 침략에 고통을 겪어 왔다는 식의 한국사 교육이 한 예이다. 홀로코스트에 대한 유대인의 태도 역시 마찬가지다. 나치 독일의 친위대 중령으로, 유럽 전역에서의 유대인 수송 (죽음의 수용소를 향한 수송)을 담당했던 아돌프 아이히만에 대해, 유대인들은 아이히만이 그러한  끔직한 일을 적극적으로 수행했던 것은 그가 악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아르헨티나에 숨어 있던 아이히만을 납치하여 예루살렘의 법정에 세워 이스라엘 국가의 이름으로 그를 교수형에 처함으로써 유대인들은 자기 민족에 대해 저질러진 악에 대한 복수를 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그 재판을 방청한 아렌트의 눈에 비친 아이히만의 모습은 일반인이 상상하는 전형적인 악인과는 달랐다. 그는 가학적이지도 않았고 분노에 사로잡히지도 않았다. 심지어 유대인을 증오하지도 않았다. 그는 자신이 어떤 유대인도 죽이지 않았다고 말한다. 자신은 명령에 따라 유대인들을 이동시키려 했을 뿐이라고. 처음에는 팔레스타인을 포함한 외국으로, 다음으로는 독일 밖에 있는 게토로, 마지막으로는 죽음의 수용소들로. 그의 관심사는 자신의 의무를 성실히 수행하는 것과 그것을 통해 동료와 상관의 인정을 받아 승진하고 출세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었다. 자신의 일이 유대인들에게 어떠한 고통을 가져올지에 대해서 상상하는 것은 그에게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아렌트가 사용하는 "악의 평범성"이라는 말은 이러한 상상력의 결핍이 얼마나 흔하게 발견되는가를 깨닫게 한다. 우리 주위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끔찍한 일들에도 수많은 성실한 실무자들이 관계하고 있는 것이다. 자신의 의무를 성실하게 수행하고, 상사와 동료들의 인정을 받고, 그것으로 자신의 가족을 부양하고 있는 평범한 사람들. 그들은 자신이 하는 일이 누군가에게 주는 고통에 대해서 생각할 줄 모른다. "머리 나쁘고 부지런한 인간이 제일 나빠."라는 흔한 농담의 주인공들, "타인의 고통에 대한 상상력"을 결여한 이 수많은 평범한 사람들이야말로 현대의 또다른 아이히만들이 아닐까?  

 그렇다면 이러한 '악의 평범성'으로부터 탈주하는 길은 무엇일까? 직접적인 대답은 주어지지 않지만, 이 책에는 아이히만의 수송 작업이 성공하지 못했던 사례들이 소개되어 있다. 유럽에서 유대인을 추방해야 하니 너희 나라에 있는 유대인을 모두 내놓으라는 나치의 요구에 대한 피점령 국가들의 반응은 다양했는데, 그 중에는 루마니아처럼 나치 쪽에서 오히려 당황할 정도로 잔혹한 유대인 학살을 시행한 국가도 있었지만, 의도적인 태업을 통해 유대인들에게 살아날 길을 마련해 준 이탈리아나 불가리아와 같은 국가도 있었다. 나치 쪽에서 아예 유대인 이야기를 꺼내지도 못했던 핀란드와 같은 사례도 있었고, 국왕이 "유대인이 가슴에 별을 달아야 한다면 내가 제일 먼저 달겠다"고 선언하고 노동자들이 나치에 반대하는 파업을 벌이고, 마침내는 자기 나라에 온 독일인들이 본국 정부에 대해 태업을 하도록 변화시키기까지 한 덴마크와 같은 사례도 있었다. 인간성과 정의에 대한 믿음이 널리 공유되는 사회는 악에 대한 면역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을 읽은 유대인 독자들이 이 책에서 논의되는 '악의 평범성'에 대한 지적을 불편하게 느꼈다는 것, 많은 유대인들이 이 책을 비판했다는 것은 유대인 사회가 가지고 있었던 악에 대한 면역력이 강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방증은 아닐까? . 홀로코스트의 희생자로서, 정의의 이름으로 악을 심판하기를 원했던 유대인들은 자신들 속에도 악이 있을 수 있다는 진실을 달가와하지 않았다. 이스라엘 국가가 원했던 것은 복수였지 진실이 아니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들이 진실에 대해 보인 이러한 태도가 내게는 오늘날 팔레스타인 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많은 끔찍한 일들, 이번에는 유대인이 가해자의 입장에서 저지르고 있는 수많은 악들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