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언어학 개론
Wolfgang Dressler 지음, 이재원 옮김 / 한국문화사 / 2004년 9월
장바구니담기


가장 단순한 의미적 응결성의 수단은 낱말 반복의 형태인 반복이다. 그러나 문장과 같은 큰 구조에서 어느 정도의 반복이 가능한가? (문장의 반복은) 화자가 수다스럽거나 장황스러운 타입의 사람이라면, 또는 화자 생각에 청자가 이해를 못했거나 청자를 믿지 않을 경우, '확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강조'도 가능하다. 미를 추구하는 문학작품에서의 반복은 텍스트 종결 수단이 된다. 더욱이 조롱하기 위해서 반복할 수 있고, 발화를 이해 못했기 때문에, 또는 사람들이 이 발화를 믿지 않기 때문에 반복한다. 선서와 맹세에서 정확하게 반복하는 것은 필수이다. 대답에서는 질문에서 사용된 것이 인용되거나 낱말이 반복된다. -41-43쪽

의미적 응결성에서처럼 다시쓰기에도 어느 정도의 '반복'이 있다. 그러나 의미 내용이 같은 낱말 형식으로 반복되는 것이 아니고, 문장이나 부분 문장의 형태로 반복된다. 이와는 달리 유의어에 의해서는 낱말이 대치된다. 통사적 변형은 잘 알려진 요약(collectio)이라는 라틴어 부류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주제에서 이탈한 반복이나 생각하고 있는 것을 중심적으로 반복하는 것은 의미적 다시쓰기와 같은 것이다. 의미적 응결성 수단으로서의 반복과 다시쓰기는 일반적으로 여러 상이한 문장에서 동일한 간위를 서로 관련짓게 한다.-44-46쪽

기능적 문장 관점이라는 술어에서 우선적으로 테마(Thema)는, 대부분의 미국 언어학자들의 초점(topic)에서처럼 문장의 토대 또는 출발점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에게 흥미로운 사실은 새로운 정보로서의 레마(Rhema, comment)와는 반대로, 주어진 것이나 알려진 것으로서의 테마는 문맥적 내지는 텍스트적/텍스트 내적 의미이다. 따라서 테마는 상황에서 나온 문맥이나 복사에 의한 지나간 텍스트 단편에서 생겨난 텍스트 내적 차원에서 얻어진다.-87쪽

가장 작은 역동성을 가진 문장의 부분 단위는 테마이고, 가장 큰 역동성을 가진 문장의 부분은 레마로 표현된다. 테마와 레마 내에서 통보적 역동성이 바뀌면, 역동성의 극단적 경우로서 테마 내지는 레마의 핵심이 언급된다. 따라서 레마는 새롭거나 기대치 않았던 정보를 표시하는 반면에, 테마에서는 문장의 출발점으로 선택된 기저 뿐만 아니라 상황이나 이전 텍스트 단편에서 유래한 알려진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텍스트언어학은 테마의 궁극적인 이해와 관련 있다.-108-109쪽

따라서 모든 문장에서 텍스트나 문맥과 관련지어 보면 새로운 정보(레마)는 여러 가지 수단(억양, 강세, 어순, 관사선택)에 의해서 강조됨을 알 수 있다. 좁은 의미에서 강조는 대부분 대비적 강세나 강조적 강세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강조는 텍스트나 문맥과 관련있다. 강조는 텍스트 진행에 대한 청자의 기대 내지는 화자가 청자의 기대를 계산하는 것과 관련 있다.-113쪽

청자는 자신이 들었던 텍스트의 첫 문장을 가지고 화자가 여러가지 강도로 충족시키거나 실망시킬 수 있는 텍스트 진행에 대한 기대를 한다. (중략) 화자의 전략은 청자가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화자의 기대에 따라 청자가 무엇을 기대하고 있지 않는가에 대해서도 미친다. 만약 청자가 자신의 긴장이 만족스럽지 않다고 추측하게 되면, 그리고 그 긴장이 해소되지 않거나 청취된 텍스트가 긴장감이 없다고 간주하게 되면, 청자는 그 사이에 질문을 하고, 텍스트의 수용내지는 생산을 중단하거나 중지하려고 할 것이다. 따라서 텍스트가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그 텍스트는 청자/독자의 기대, 즉 텍스트가 일반적으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해야만 한다는 화용적인 기대에 완전히 어긋나게 된다.-114-115쪽

접속사 삽입은 의미를 명료하게 해주고, 잉여성을 높여주고, 오해의 위험성을 줄여준다. 문어 텍스트에서는 구두법이 이와 유사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접속사와 그 밖의 연결사들은 문장들을 덜 밀착된 관계에서 밀착된 관계로 만들면서 집합적으로 분류한다. 접속사와 다른 연결사들은 의미적 문장 연결 관계의 단지 외적인 표현이다. 이들은 한편으로 잉여적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명확하고 수의적인 단위이다.-145쪽

'감탄사'라는 명칭이 암시하듯이 감탄사에게는 텍스트를 분절하기 위한, 또한 텍스트를 경계짓기 위한 권능이 주어진다. 그래서 많은 미국 언어학자들의 강연은 Well로 시작하고 OK로 끝난다.-153쪽

침묵은 완전히 다의적이다. 침묵은 특히 1)텍스트 종결 2)화자가 생각할 시간이 필요함 3)말하기의 게으름(과묵함) 4)화자가 말을 계속하는 것에대한 흥미 없음 5)대답할 수 없음 6)대답하기 싫음(예를 들어 공개적으로 웃음거리가 되지 않기 위해서) 7)공손함과 전례적 이유 때문ㅇ 의도적으로 침묵함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15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