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에이션 - 생명의 기원과 미래
애덤 러더퍼드 지음, 김학영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인문학 전공자인 내가 정확히 생물학에 매료되었을 때는 대학교 3학년 때 교양수업을 듣고 나서부터이다. 교양임에도 양이 방대하여 세밀한 부분까지 공부했었어야 했지만, 나는 오히려 전공과목보다 생물학에 더 흥미가 생기기 시작했다. 어쩌면 고등학교 1학년 이후로 철저히 인류가 만들어놓은 학문에만 치중되어서 자연을 공부하지 않았기에 더 흥미가 생겼을지도 모르지만 말이다.

 

그 후 여러 생명과학 책을 탐독했고, 급기야 4학년때는 생물학 전공과목도 인문학도로서 혼자 수강을 했다. 당시에 교수가 나를 굉장히 특이하게 생각했었던 기억이 난다. 그런데 역시 전공과목은 스케일 자체가 달랐다. 너무 심도있는 내용에 나의 기본지식이 전무했던터라 시험을 제대로 망쳐버린 것이다. 다행히도 나를 좋게 생각해준 교수 덕분에 나쁘지 않은 점수는 받을 수 있었다.

 

시간이 흘러서 많이 돌아서 오기는 했지만 현재 나는 제대로 된 생물학을 공부하고 있다. 말하자면 교양으로서가 아니라 심도 있게 학문을 탐구하고 있다는 말이다. 지금은 분자생물학을 공부중인데 그 연장선으로 이 책을 읽었다. 생물학이라는 학문이 매우 세부적인터라 간혹 숲보다는 나무만을 볼 수 있는데, 인류가 유전자의 역사에서 이루어놓은 성과에 대한 역사와 맥을 같이 해서 공부하면 더욱 큰 의미를 갖고 공부할 수 있다.

 

오로지 사실만을 탐구한다고는 하지만 인류의 발생에 대해서는 전혀 알 수가 없다. 그저 '그럴 것이다'라는 생각만을 할 뿐이다. 그에 따른 증거가 있다면 조금씩 확신이 되어갈테지만, 그 확신이 사실일수는 없을 것이다. A,T,G,C의 염기서열로 단백질이 만들어지는 이 메커니즘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에 적용된다. 현재는 이런 염기서열로 어떤 단백질이 만들어지는지는 거의 다 규명되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풀리지 못한 숙제가 산재해 있다. 이 숙제들을 위해서 지금 이 시간에도 지구상의 수많은 생물학자들은 연구 중에 있을 것이다. 책은 이렇게 지금까지의 유전자에 대한 발견과 발전에 대한 역사를 보여주고 앞으로 이런 성과로 어떤 미래가 펼쳐질지도 예상한다. 연구로서 밝혀진 이론을 현실에 접목하는 학문 분야가 바로 '합성생물학'인데 역사는 짧지만 놀라운 속도로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GM식품에 대한 논란처럼 한켠에서는 신에 대한 도전이며 무해함에 대한 확신의 결여를 주장하고 있다. 저자는 이 부분에서 합성생물학의 발전이 곧 인류의 발전이 될 수 있음을 주장하는데 사실 이 부분은 두고 볼 일이다. 다른 학문분야보다도 생물학이 기초학문에서 응용학문으로 나아가는 과정에는 상충되는 것이 너무 많고, 그 결과가 생각보다 위험할 수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의 합성생물학 발전의 당위성에는 아쉬움이 느껴진다.

 

알면 알수록 놀랍고 경이롭다. 인간의 몸이 이토록 알 수 없는 미지의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졌다니... 최초의 인간 LUCA는 어떤 경위로 태어났으며, 세포의 밝혀지지 않은 비밀은 어떤 것인지 속속들이 알고 싶어진다. 앎이 창조로 이어졌을 때 그 창조가 인간의 행복을 보장한다면 그것으로서 학문의 의의는 실천된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생명과학의 미래가 기대되는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