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관계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공경희 옮김 / 밝은세상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요즘에는 문학을 잘 접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최근에 읽었던 더글라스 케네디의 <빅 픽처>가 여전히 뇌리에 강하게 남는다. 마치 영화같았던 한 남자의 생을 흡인력 있는 소설로 접해볼 수 있었기 때문이다. <빅 픽처>를 좋아하는 이유들 중의 하나는 멋진 표지도 한 몫했다. 마치 하나의 예술품을 보는 듯한 그 느낌은 더글라스 케네디의 소설임을 분명히 부각시켜 주었다. 이 책 <위험한 관계> 또한 누가 봐도 같은 작가의 책임을 알 수 있다. 같은 표지 구성에 디자인만 달리 했지만 역시나 훌륭하다. 이렇게 겉으로 보기 좋은 책은 언제나 많은 독자들을 유혹하는 법이다.

기자로 활동하는 독립심 강한 여성인 샐리는 소말리아에 특파원으로 일하던 중 다른 메이저 신문사의 기자인 토니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이내 그녀는 토니의 아이를 갖게 되고 때마침 토니에게 런던에서 일할 기회가 생겨서 함께 영국으로 향한다. 그러나 임신 중인 샐리는 임신중독증으로 고통을 받게 되고 출산 또한 난산으로 매우 힘겨워한다. 출산 후에도 산후우울증으로 매우 극심한 고통을 겪게 되기까지 하자 급기야 정신병동에 입원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그런 과정에서도 토니는 전혀 샐리와 그의 아들에게 관심을 갖지 않게 되었고 그 관계의 배후에 어떤 원인이 있는지 알게 된 샐리와 토니는 기나긴 법정 싸움을 하게 된다.

한마디로 실망이었다. <빅 픽처>가 너무 좋아서였을까, 이 책의 서사적인 부분도 무척이나 지루하고 단조로웠으며 소설의 매력을 마음껏 발산하지 못했다. 마치 드라마나 영화로 만들어도 세트 몇 개 에서 모두 촬영할 수 있을 정도로 공간적인 움직임 또한 없었다. 어쩌면 그런 부분에서 <빅 픽처>와 너무나도 상반되어서 더 실망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 책에서는 무엇보다도 미국인인 샐리의 영국생활 적응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데 나도 1년 가량 영국에서 생활해봤지만 영어권 국가에서 온 외국인이 아니었기에 모든 게 생소할 따름이었다. 그러나 샐리의 영국 생활은 비록 말은 통하지만 영국인들의 미국인에 대한 편견을 비롯해서 비슷하지만 많이 다른 문화로 인해서 많이 혼란스러워 함을 알 수 있었다. 실제로 영국에서 미국인을 좋아하는 영국인은 많이 보지 못했다. 이는 아마 저자가 미국인으로서 영국에서 오랫동안 생활했던 경험과 느꼈던 점들이 고스란히 투영된 결과인지도 모르겠다. 

줄거리는 너무 단순하고 단순한 줄거리를 길게 풀어써서 지루할 따름이었다. 오랜 투병 과정과 법정 다툼을 소설로 표현할 때에는 간략함이 제 맛이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