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 카르테 1 신의 카르테 1
나쓰카와 소스케 지음, 채숙향 옮김 / 작품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메디컬 픽션이다. 한때나마 의사라는 꿈을 가슴에 품고 살아왔기에 메디컬이 들어간 것이라면 무엇이든 관심과 흥미를 가졌었다. 물론 지금도 그렇다. 단지 이런 것들이 내 접은 꿈에 미련을 일으켜서 조금 씁쓸하긴 하지만. 

메디컬 드라마의 전형적인 주인공 스타일과는 어딘지 모르게 다른 소설 속 주인공 이치토. 병원 내에서는 괴짜라고 불리우지만 그는 자신이 왜 괴짜인지 모르는 내과의이다. 시골의 한 종합병원에서 수많은 환자를 대하느라 며칠 밤을 새는 건 부지기수에 만성 피로는 카페인으로 임시방편 몰아내지만 대신 위장은 쉴 틈 없이 혹사당하는 의사. 수련의의 젊음과 패기나 사랑이 지나쳐서 오글거리기까지 하는 메디컬 드라마의 주인공 캐릭터와는 달리 무뚝뚝하고 평면적인데다 의사로서의 권력 남용 따위는 눈씻고도 찾아볼 수 없는 흥미로운 캐릭터이다. 더욱 흥미로운 이유는 그도 환자의 죽음에 눈물 흘릴 줄 아는 인간미를 지녔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환자의 치유가 그저 몸의 치료가 아닌 따뜻한 정이 오가는 마음의 치료가 무엇인지를 보여준 소설이었다.  

의사로서 느끼는 사명감과 보람이 다른 직업에 비해서 몇 배나 더 가슴을 찌릿하게 울리는 것이 내게는 굉장한 매력이었다. 지금도 직접적이 아닌 간적적으로 그 휴머니즘을 느끼고 싶어서 메디컬 다큐를 비롯해서 미드 <그레이 아나토미>는 물론, 주기적으로 만들어지는 한국의 메디컬 드라마도 빠짐없이 챙겨보고 있다. 의학을 이용한 소재가 이렇듯 언제나 고갈되지 않고 나와 같은 열렬한 팬이 생긴 이유는 예나 지금이나 인간 본연의 나약함과 따스함 그리고 인간적인 의사로서의 모습이 꽤나 흥미로운 소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런 것들의 핵심 포인트는 '냉철함'과 '인간미'의 교차이다. 그것을 알고 있음에도 진부함을 느끼지 못하는 나를 어찌 해야 할까. 

저자가 의사이기에 전문 의학 용어도 많이 나오고 그가 직접 겪은 여러 체험들이 증축되어서 더욱 묘사력이 리얼했다. 또 남들이 다 하는 것을 하는 것 보다 자신이 하고 싶은 길을 고집한 소설의 결말에 또 한 번 미소가 지어진다. 처음부터 끝까지 줄곧 흐뭇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