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브 키터리지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지음, 권상미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너무나도 미국적인 소설이라고나 할까. 올리브 키터리지라는 인물을 축으로 미국 소도시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이야기를 묶은 단편집이다. 한 남자의 아내이자 아들의 어머니로서의 그녀는 흔히 독자들이 예상해볼만한 성격이 아니다. 그렇기에 더 흥미롭다. 거대한 체구의 그녀는 하나밖에 없는 아들에게는 저도 모르게 상처를 주고, 남편에게 더없이 무뚝뚝한 그녀는 책장을 넘길수록 더욱 알고 싶고 재미있는 인물로 다가온다.  

재작년 영국에 머물고 있을 때 올리브 키터리지와 무척이나 닮은 패트리샤라는 이름의 할머니와 함께 살았던 적이 있었다. 패트리샤 역시 거구에 남편을 잃고 혼자 살아가는 여인이었다. 따뜻함을 유지하려고 노력하지만 그녀 내면의 본성이 마치 그걸 방해라도 하듯 가끔씩은 냉정하고 퉁명스럽고 다가가기 힘들었기에 책을 처음 읽으면서 덮을 때까지 내 머릿속의 올리브 키트리지는 패트리샤였다. 그래서 어쩌면 내가 이 소설을 더욱 재미있게 읽은 이유가 된 건지도 모르겠다.  

퓰리처상 수상작으로서의 명예가 아니더라도 이런 사람 냄새 나는 소설이 좋다. 포장 되어 있지 않기에 더럽고 끔찍한 현실과 흡사하기에 이런 소설들이 나를 더 위로해주는 느낌이랄까.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서로 부대끼며 악착같이 살아가야 하며 그 재미없음 속에서도 소소한 재미와 낭만을 느끼는 게 인생이라고 스스로 정의내리고 산다면 비단 나만 그렇게 사는 게 아님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고 더 나아가 위안 받을 수도 있다. 20대로서의 내게 올리브 키터리지가 말한 결혼 따위의 인생 중대사를 아직은 겪어보지 못했기에 극도의 공감은 아니지만 공감이기 전에 노년의 삶을 미리 내다보고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예상했듯 늙는 다는 것이 썩 유쾌한 일은 아님을 알았고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고 혼자 살아가는 삶이 어쩌면 악몽같을 수도 있음을 알았지만 사랑이라는 감정에의 목마름은 나이를 아무리 먹어도 사그라들지 않기에 어쩌면 인생은 참 어렵고, 비참하고, 외로울 수 밖에 없는 게 아닐까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그 모든 것을 구멍 숭숭 뚫린 치즈와 같다고 비유했고 빨리 세상을 뜨길 바란다는 말을 매일 같이 해도 정작 그렇지 않다고 했을 때의 희망을 보았다. 아, 정말 삶이란 이리도 현기증 나는 무엇인 것 같다.  

모든 이들은 저마다의 인생이 있고, 고민과 걱정이 있는데 이 모든 것을 소설이라는 허구적인 스토리에서까지 들여다보게 되니 참담했다. 그러나 올리브 키터리지가 그랬듯 원래 인생이란 구멍 숭숭 뚫린 스위스 치즈같다지 않은가. 이처럼 멋있는 표현이 어디있을까. 그리고 이처럼 참담하고 어렵기에 멋있는 인생이 어디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