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와 칼 - 일본 문화의 틀
루스 베네딕트 지음, 김윤식.오인석 옮김 / 을유문화사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국화와 칼>이 오랜시간동안 변함없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고전의 자리를 잃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 단순히 아주 오래전에 일본에 대해 이토록 상세한 설명을 한 책은 없었기 때문일까? 물론 많은 이유들 중 하나를 차지할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의 가치가 가장 돋보이는 이유는 바로 루스 베네딕트가 한 번도 일본을 방문하지 않고, 일본에 관한 가장 친절하고 상세하며 논리적인 책을 냈기 때문이다. 문화인류학의 가장 기본적인 연구자세가 바로 최소 1년을 참여관찰로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라면, 이 책이 문화인류학의 기본 지침을 지키지 않았음에도 하나의 상징이 될 만큼 큰 의미를 남긴 이유는 무엇일까? 

참여 관찰로 관찰대상 및 지역에 대해 꼼꼼하게 관찰했다고 해도 이 모든 것들보다 가장 우선시 되는 자세가 바로 상대적인 관점이다. 설령 일본에 머물며 오랜기간 미국인의 눈으로 일본을 겪었다고해도 당대의 흔히 서방세계가 일본에 대해 여기고 있는 뿌리깊은 편견은 깨끗이 사라질 수 있다고는 장담할 수 없었다. 비록 참여관찰이라는 가장 중요하고도 기본적인 방법을 활용하지 못했지만, 루스 베네딕트에게는 이런 자세가 하나의 신념으로 작용했기에 이 책이 고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그녀의 연구 성과가 그 후의 문화인류학에 또 하나의 획을 그은 것은 물론이다. 

책을 읽으며 항상 염두해 두어야 했던 점이 바로 저자가 미국인이었다는 점과 그녀가 이 책을 쓴 시기였다. 가까운 일본의 지리적 위치 및 뗄 수 없는 역사를 안고 있는 우리나라는 그 전파로 인한 문화적인 동질성이 매우 짙다. 책을 읽으며 느낀 그런 많은 점들이 나와 달리 미국인에게는 매우 생경하게 그려진 것을 느낄 수 있었던 반면, 미국인만큼이나 일본 문화의 이질성 또한 많이 느꼈다. 무엇보다도 기리, 기무, 주와 같은 일본인들의 문화적 관념과 그 관념들을 바탕으로 한 기회주의적인 태도가 전혀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는 점에서 흥미로웠고, 첫 장 부터 끝장까지 읽는 내내 과연 현재까지 일본에 존속하고 있는 문화는 어떤 부분인지 궁금했다. 

당시 미국인의 눈에 비친 일본의 많은 부분이 현재의 일본과는 분명 다른 모습일 것이다. 그럼에도 한 국가의 문화를 철저히 자료만을 참고로 한 채, 영향력 있는 책으로 만들어진 것이 바로 <국화와 칼>의 가장 큰 의미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