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개 100배 똑똑하게 키우기
후지이 사토시 지음, 최지용 옮김 / 보누스 / 200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개를 키워보고 있어서 주워들은 잘못된 지식만으로 몇 개월 동안을 어설픈 주인으로 지내왔었다. 혼내기에는 너무 귀여운 우리 강아지라서 무조건 자식 대하듯 오냐하며 키웠었는데, 원래부터 기가 셌었지만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말괄량이가 되어버려서 늦게나마 똑똑한 주인 노릇을 해보고자 책을 들었다.
책을 넘길수록 느낀 것은 내가 얼마나 개를 잘못 키우고 있으며, 잘못된 상식을 갖고 있는지 그리고 왜 우리집 강아지가 이렇게 괴팍해졌는지 비로소 이해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책에 나와있는 강아지 훈련법을 우리 강아지에게 실천해보았을 때 전혀 조금의 효과가 보여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짧은 시간 안에 바로 효과가 나타나지는 않는다라고 나와있지만, 개를 키워보며 느낀 것은 책에 나온 것 처럼 개의 조상이 늑대이기에 늑대의 습성을 파악하면 개를 잘 키울 수 있다고 하지만 그만큼 각각의 개의 특성 또한 존중해 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집 강아지는 원래부터 활발했지만, 책에 나와있듯 주인을 우습게 보며 서열에서 나보다 상위에 있고자 하는 것 같지는 않다. 물론 이건 내가 우리집 강아지를 너무 사랑해서 객관적일 수 없는 판단일 수도 없는 사실이겠지만 말이다.
책을 쭉 읽어보면 개를 마치 인간으로 따지면 스파르타 식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나온다. 개의 습성 중 가장 중요한 특성이 '서열 지키기'이며 개 주인이 이 특성을 잘 파악하고 개가 주인보다 서열이 위에 있지 않도록 노력해야 하는게 개를 수월하게 키우는 가장 명확한 이유라고 나와있다. 서열이 지켜졌을 때는 비로소 개가 소위 말하는 영리한 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기를 키우는 것과 개를 키우는 것이 비슷하다고는 하지만 무척이나 다르다. 가장 중요한 커뮤니케이션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하루에도 몇 번씩이나 똑같은 말을 해도 못 알아듣는 개를 보고 멍청하다고 하기 전에 개가 사람이 아님을 먼저 인식해야 함이 중요하다. 비록 이 책에서 제대로 개를 훈련시키는 방법이 나와있고, 바른 지식이 나와있기는 하지만 개를 사랑하는 마음이 너무 큰 내가 이 모든 것을 지킬 수는 없을 것 같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개가 되어보지 않는 이상 이 책에 나와있는 모든 지식이 모두 사실이라고 할 수도 없다는 의구심이 들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말 안 듣는 개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 모른다면 꼭 한 번쯤은 읽어봐야 할 책이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