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 그린비 크리티컬 컬렉션 15
프란츠 파농 지음, 남경태 옮김 / 그린비 / 200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익숙한 이름이 익숙해지기까지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법이다. 내게는 프란츠 파농이 그렇다. 한 번도 그의 책을 접해본 적도 없고, 그가 누구인지, 심지어 살아 있는 사람인지 죽은 사람인지조차 몰랐던 내게 이상하게도 그의 유작인 이 책 <대지의 저주받은 사람들>과 그의 또 다른 책인 <검은 피부, 하얀 가면>은 무척이나 귀에 익숙하다. 딱히 이 책들이 베스트셀러라고 할 수도 없고, 그가 현재 왕성한 집필 활동은 불가능한 고인이지만 이토록 유명한 이유는 지금까지도 아주 오랫동안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기 때문이지 않을까. 

그의 유작인 이 책은 파농이 유일하게 직접 제목을 결정한 책이기도 하다. 프랑스령 국가였던 당시의 알제리를 보고 정신과 의사인 파농은 그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전쟁과 식민주의가 얼마나 인간을 참혹하게 만드는지를 풀어쓰고 있다. 그의 짧은 인생 동안의 전 경험이 그런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니만큼 책을 읽으며 당시 그의 뜨거운 마음이 가슴 깊이 느껴졌다. 그래서 책 속에 지배와 피지배, 억압과 피억압의 일방적 관계에 대한 그의 오랫동안의 고찰과 투쟁적인 분노가 고스란히 담겨있음은 물론이었다. 

   
  식민지 민족은 혼자가 아니다. 식민주의는 막강한 힘을 자랑하지만 그 변방에서는 외부 세계로부터 새로운 이념과 영향이 유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폭력의 분위기가 강해지고, 여기저기서 사태가 터져나오며, 여기저기서 식민지 체제가 무너진다. 그 폭력은 원주민에게 유리한 상황을 조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가 구체적인 실효를 가진다.  
   

억압과 지배를 폭력이 아닌 비폭력의 정신으로 타개함이 익숙해진 오늘날 마치 폭력이 반기를 든 비인간적이고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여겨지는 상황에서 파농의 폭력을 옹호하는 주장이 어느정도로 설득력을 가지며 실효성을 가지는지는 의문이다. 그러나 이는 차치하고라도 흑인으로서, 그리고 전쟁을 가까이서 지켜보고 그 상흔을 안고 있는 사람들을 지켜본 그의 글 속에서 진정성이 느껴짐은 틀림없는 사실이었다. 비록 아프리카로서 서구 열강의 지배를 받은 민족은 아니지만 한국 역시 피지배 민족으로서의 아픈 시간이 있었다. 그런 경험을 투영해서 읽어본다면 이 책이 그저 한 사람의 주장으로만 그치는게 아닌 진정한 민족주의와 민족의식이 무엇이며 역사속의 아프리카 대륙의 그 살벌함과 참혹함을 진정으로 느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