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 ㅣ 어느 지하생활자의 행복한 책일기 1
윤성근 지음 / 이매진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책을 좋아하는 사람을 보면 저절로 기분이 좋아진다.
그저 같은 관심사가 있다는 공통점이라고 하기엔 너무 싱거울 정도로 책을 좋아하는 사람을 주변에서 보는 게 드물고, 그런 사람들과 함께 책에 대해 이야기 꽃을 피워본지도 꽤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책에 관한 책도 무척 좋아한다. 결론은 무엇이든 책에 관한 거라면 좋아한다는 것이다.
헌책방은 책을 좋아하는 나도 자주 가보지는 못했다.
주변에 그럴듯한 헌책방도 없거니와 있다고해도 중,고등학교 시절에 참고서 팔러 몇 번 가 본 참고서 헌책방이 전부이기 때문이다.
책을 나보다도 훨씬 사랑하고 많이 읽은 이 책의 저자 윤성근이 은평구에 만든 헌책방 <이상한 나라의 헌책방>과 같은 헌책방은 태어나서 한 번도 가보지 못했다. 때문에 더욱 이 책을 읽으며 이상북에 관심이 쏠리고 당장이라도 가보고 싶은 충동을 억누르기 힘들었다.
다니던 회사를 때려치우고 진정 좋아하는 일을 하고 싶어서 오픈하게 된 헌책방. 중소서점들이 문을 다 닫고 이젠 오프라인에서는 대형서점이 그리고 온라인에서는 훨씬 서비스 좋은 온라인 서점들을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는 현실속에 오프라인 헌책방을 열었다는 것은 이미 돈에는 관심이 없음을 나타내고 있는것이리라. 그러나 그 속에서 만난 사람들과 함께 나름의 문화를 영위하며 재미나게 살아가고 있는 헌책방 생활을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보여준다.
책방주인의 에세이들 중 몇은 도대체 왜 이런 이야기를 책에 싣는걸까라는 황당한 의구심이 생길정도로 책의 취지와 동떨어진 부분도 없잖아 있었다.
게다가 그가 읽은 책에 대한 글과 단상 부분은 재미나게 읽었지만 나도 읽은 <내 배낭 속의 영국남자>라는 책에 대한 지은이의 소감문과 억측 그리고 뒷이야기에 이어지는 모든게 농담이었다라는 깜짝고백에서는 마치 희롱이라도 당한 불쾌한 느낌이었다. 뒷이야기를 보기 전엔 내가 오래 전에 읽었던 그 책에서 분명 그 책의 작가와 영국남자와 함께 찍은 사진을 보았었다는 기억이 있었기 때문이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모든게 그가 꾸며낸 하나의 가상이었다.
이 책은 책방에 대한 소개 그리고 홍보, 거기에서 더 나아가 책방 주인의 잡다구리한 단상들을 엮은 책으로 보면 좋을 것 같다. 책을 좋아한다는 것만이 그와 독자인 나의 가장 큰 공통점이고 그 외의 부분에 있어서는 공감하기 힘든 부분도 많았지만 그게 무슨 의미가 있으리,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 직접 책 사랑을 실천으로 옮겼다는 것, 그리고 책을 사랑하는 방법과 책을 읽는 이유에 저자 나름의 철학을 엿본 것 만으로도 나는 충분히 감동받은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