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욕망과 지혜의 문화사전 몸
샤오 춘레이 지음, 유소영 옮김 / 푸른숲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생각해보면 인체란 그 얼마나 신비로우면서도 과학적이고 실용적으로 잘 설계되어있는지 감탄스러울 따름이다. 건강한 몸으로 태어나 건강한 삶을 살고 있을 때는 그것을 망각하고 있다가, 남들과 다른 부족함을 어딘가 지니거나 인생의 노년에 찾아오는 자연스러운 인체의 퇴화를 경험하면 새삼 우리 몸의 고마움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감히 '사전'이라는 단어로 제목을 내건 이 책의 저자 샤오춘레이는 사실 우리 몸을 정의한다고 하면 쉽게 생각할 직종에 몸담고 있지 않다. 시인이면서 작가인 그가 이런 책을 집필했다고 하기엔 어딘가 쉽게 납득되지 않지만, 그것은 큰 오산에 불과할 뿐이라는 걸 몇 페이지 읽어보면 금방 알게 될 것이다. 오히려 딱딱한 '사전'이라는 명칭에 충실한 책보다는 문학적인 부드러움이 가미된 말랑말랑하면서도 때로는 유쾌한 '사전'이 더욱 읽기 쉽고 매력적인 것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더불어 책을 읽다보면 작가라는 직업이 무색할 정도의 박식함에 혀를 내두르게 될 것이다.
이 책은 '몸'에 대해 다루었지만, 그저 신체 각각의 기관만 다루지는 않았다. 눈빛,체취 그리고 섹스 등의 눈에 보이지 않고 잡히지 않지만 인간의 신체에서 발현할 수 밖에 없는 것들에 대해서도 충실히 다루었는데 바로 이런 부분에서 그의 문학성이 더욱 드러나보여서 흥미로웠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저자가 중국인이니 만큼 중국의 역사 속 신체기관과 관련된 사료를 다분히 이용한 점인데, 그 도가 지나쳐 이 책이 중국 역사 사료집인지 아니면 인간의 몸을 탐구한 책인지 구분이 잘 가지 않을 정도라는 점이다. 중국의 그 장대한 역사 속에 숨겨있는 이야기들을 하나씩 꺼내보일 때, 마치 독자가 당연히 중국인이라는 점을 전제로 했다는 느낌이 든 것은 나처럼 중국 역사에 전혀 문외한인 독자로서는 군데군데 친절하게 느껴지지 않은 점도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 또한 이 책 덕분에 새삼 인간의 '몸'에 대해 생각해 볼 시간을 가졌다. 책 제목 그대로 '욕망'과 '지혜'를 담고 있는 우리의 몸이 그 각각의 기관마다 나름의 흥미로운 역사를 가졌고, 또 지금도 끊임없이 그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는 것은 바로 인간만이 할 수 있는 특권이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