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페미니즘의 도전 - 한국 사회 일상의 성정치학
정희진 지음 / 교양인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불편했다. 이 성차별적인 권력관계의 모든 것에 대해서 아무런 생각없이 받아들이고 있던 나를 발견했을 때도 불편했고, 사회의 모든 것을 뜯어보았을 때 내재되어 있던 철저히 남성위주의 이 모든 것들이 더욱 불편했다. 특별한 생각없이 살아가고 있는 나도 평소에 무척이나 많이 느끼는 성차별적인 제도와 담론들이 차근차근 살펴보면 얼마나 많이 있는 것일까.
어떻게보면 지나치게 모든 것을 비판적으로 보는 피해의식에서 비롯된 관점으로 책을 쓴 것은 아닐까 싶을 정도로 읽기가 조금은 버거웠다. 그러나 결국 생각하고 또 생각해보면 틀린 말은 아니기 때문에, 그리고 내가 여자이기에 그 모든 것이 저자의 관점에 동조할 수 있게끔 다가올 수 있었던 것 같다. 이 말은 즉, 내가 남성이라면 이 책은 또 내게 다르게 읽혀질 수도 있었을 것 같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이 지금까지도 성차별 담론에서 항상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이다. 누구에게는 평등과 권리를 의미하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역차별적으로 느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사회의 발전과 여성의 권리 분석 및 그에 따른 신장은 함께 해 왔다. 그런 맥락에서 이런 페미니즘과 관련한 이론 및 무수한 책들이 쏟아져나오지만, 사실상 양성평등은 급격히 진행되지는 못하다. 아직까지도 지구 곳곳에서는 빈곤과 함께 성차별이 만연해 있고, 심지어 선진 국가 조차도 그리고 그 국가들 간의 분쟁 조차도 극단적으로 강대국은 남성, 약소국은 여성이라는 이분법적인 은유를 거들먹거리고 있는 현실이니, 아직도 모두가 만족해질 수 있는 사회가 되는 길은 멀었다고 본다.
일상 생활에서 쓰던 모든 말이 조심스러워진다. 철저히 남성위주로 만들어진 언어 및 제도에 그대로 따라가고 종속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가 의심스러워진다. 또 책을 읽고 난 후이지만, 해결책만큼이나 더욱 생각할 거리가 가득해진 것 같아서 씁쓸한 마음이 더 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