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 최재천의 동물과 인간 이야기
최재천 지음 / 효형출판 / 200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생명과학과 의학에 관심을 갖게 된 후 생명과학 분야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저명한 최재천 교수를 알고는 있었지만 그가 쓴 책은 처음 읽어보았다.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라는 다소 길고 촌스러운 책 제목이지만 정말 만물의 영장이라고 자부하는 인간들이 새겨 들어야 하는 문장임에는 틀림 없다. 돌아보면 우리 주변에 얼마나 많은 생명들이 숨 쉬고 살아가고 있는 건가. 같은 인간으로서의 소통이 가능하고 사회적 동물인 인간이니만큼 집에서 키우는 애완용 동물이나 식물을 제외하고는 보통 사람들은 그들끼리 어울려 살며 다른 생명체에 무관심한 것이 사실이다. 그것도 모자라서 자연을 파괴하고 인간들이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겠다는 자만에 빠진 만행이 얼마나 지구에 몹쓸 짓을 한 것인지를 새삼 느끼게 되었다.
책 속에서 정말 다양한 동물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어쩜 그리고 하나같이 흥미로운 소재가 될 수 있는지 그것도 같은 동물인 인간에 견주어서 비교해보니 제법 그럴 듯하고 우리가 얼마나 반성해야 할 부분이 많은지를 여실히 느낄 수 있었다. 그저 심지어 이런 동물도 인간보다 더 지혜롭고 도덕적으로 행하는 행동에 비교했을 때 인간의 이성적과 도덕성을 내세워서 자만에 빠져 어리석음을 행하는 부분은 스스로도 반성할 수 밖에 없었다. 동물보다 못 한 부분이 얼마나 많은지를 알았을 때 인간은 더 이상 그들보다 더 진보된 생명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만물의 영장이라고 내세우고 세상을 군림한다면 모든 것을 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지구의 역사를 24시간으로 환원했을 때 인간이 이 세상에 존재하게 된 시기가 11시 59분도 넘어서라고 하면 인간이란 그 얼마나 잔혹한 존재인가. 지구 온난화 위기가 여기 저기 도래하고 있는 지금 과연 앞으로의 지구는 무한히 인간의 손에서 온전함을 유지할 수 있을지 걱정스럽다. 그리고 생물의 다양성 또한 앞으로 계속 줄어든다면 인간이 지구에 끼친 피해가 이루 말 할 수 없을 정도라는 것을 항상 자각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