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물원에 가기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미간을 찡그리며 눈을 번뜩이고 읽는 책이 있는가하면, 커피 한 잔과 함께 흡족한 미소를 머금으며 읽는 책이 있다. 어쩌면 빡빡하고도 재미없고 쳇바퀴 돌 듯한 일상생활에 알랭 드 보통의 에세이를 읽는 것은 또 다른 행복이 아닐까.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이후 그의 어떤 책도 읽지 않은 채 바로 이 책을 들었다. 그의 다른 책들은 왠지 미간을 찡그리면서 읽은 구절을 반복해서 읽어야 하는 수고로움을 동반해야 할 것 같기 때문이다. 시험에 지치고 남은 과제에 지친 내게 그럴 여력은 없다.
다른 사람들이 쓴 책을 읽다 보면 역설적으로 나 혼자 파악하려 할 때보다 우리 자신의 삶에 관해서 더 많이 알게 된다. 다른 사람의 책에 있는 말을 읽다 보면 전보다 더 생생한 느낌으로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 세계는 어떠한지 돌아보게 된다. - p.126
알랭 드 보통은 날카롭다. 그의 훌륭한 철학적 지식의 배경 때문이기도 하지만, 비단 철학 뿐만이 아니라 문학과 예술 등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그의 학식과 통찰력에 그야말로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커질 수 밖에 없음을 깨닫는다. 그러므로 에세이 속에 녹아든 그의 생각들은 역시나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를 처음 읽었을 때 처럼 탄성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그가 언급한 책의 역할이 오롯이 독자인 내게로 전해지는 이 순간, 그는 내게 세상을 보는 법 뿐만이 아니라 나 자신을 제대로 살펴보는 법까지 전해주었다. 어쩌면 이것이 내가 알랭 드 보통을 좋아하는 이유인지도 모르겠다.
알랭 드 보통의 에세이를 계기로 그가 언급한 화가와 작가 또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보통의 에세이를 읽기 전이었다면 무심코 보았을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 속에 숨겨져 있던 고독을 이젠 그 속에 몸을 던질 수 있을 정도로 공감해서 볼 수 있을 것 같다. 또 그의 고향인 따분하지만 부르주아의 안정과 평화로움이 느껴지는 취리히에 대한 찬사 또한 내가 취리히의 매력에 단숨에 호기심을 가지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요컨대 알랭 드 보통은 내게 세상과 사람의 매력을 느낄 수 있게 도와주는 최고의 가이드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