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의 도서관 - 소설로 읽는 책의 역사
요슈타인 가아더.클라우스 하게루프 지음, 이용숙 옮김 / 현암사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책을 사랑하는 마음은 어쩌면 선천적으로 타고난건지도 모르겠다. 초등학교 다닐 때 숙제로 친구들과 구립도서관을 찾고 난 후, 도서관의 매력에 빠져버리게 되고, 거기 꽂혀있는 책이 내 마음을 설레게 한 후로, 주말마다 도서관을 찾았었다. 그건 고등학생이 되고 대학생이 되고 나서도 계속되었고, 아직도 나의 책을 사랑하는 마음은 가끔은 책 외에 다른 것에 흥미를 가질 때도 있지만 언제나 다시 책으로 손길이 향하곤했다.

'소설로 읽는 책의 역사'라고 제목 앞의 소개된 수식어를 보고는 나처럼 책을 좋아하는 애서가라면 무지 흥미를 보일 것이다. 쭉 읽다보면 사실 책의 역사에 대한 내용보다는 그저 탐정소설에 가깝다고 해야 할 것 같다. 이 점에서 조금 실망스러웠는데, 책의 역사에 대한 부분은 매우 미흡하다. 읽으면서도 '대체 언제 나온다는거야?'라는 마음으로 읽었으니 말이다.

책은 편지글 형식으로 되어 있다. 사촌지간인 베리트와 닐스가 서로 다른 지방에 살게 되고, 둘은 펜팔을 하듯 편지책을 교환해서 보았던 것이다. 그런데 열심히 편지글을 쓰기 시작할 무렵, 둘 앞에 수상할 정도로 자주 모습을 드러내는 '비비'라는 여자가 나타난다. 책을 보며 침을 질질 흘리는 수상한 여자가 말이다. 이로부터 둘 앞에는 수상한 사람들이 대거 등장하게 되고, 둘은 스스로가 탐정이 되어 이 수상한 사람들의 실체를 파헤친다.

책을 보며 침을 질질 흘린다니... 너무 매력적이지 않은가? 책 속의 인물들의 책을 사랑하는 마음이 작가의 그것과 같다는 생각이 든다. 아직 저자의 대표작인 <소피의 세계>를 읽어보지 않았지만, 옮긴이의 말을 읽어보면 이 책이 저자 요슈타인 가아더의 번역 책 중 번역과정에서 가장 즐거웠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다른 책들은 어느정도로 재미없다는 말인지.... 비록 이 책이 재미는 없었지만, 책에 대한 묘사에 이르러서는 책의 매력을 다시 생각해볼 수 있게끔 하였다. 단순히 활자들의 집합이 그 이상의 의미를 선사할 때 책은 한 사람의 인생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문장에 이르러서는 괜히 가슴이 뭉클해질 정도였다. 더불어 이 책은 상징성이 많다. 마지막 부분에 이르러 인터넷과 매체가 지배하는 이 시대에 책의 위치를 생각해 볼 수 있게끔 하였다. 최근에 책이 만들어졌다면 베리트와 닐스는 e-mail로 서로 편지를 쓸테고, 비디오보다는 컴퓨터로 소재가 바뀌었을 것 같다.

난 아직도 책만 보면 가슴이 두근거린다. 아마 상사병일지도 혹은 습관일지도. 나의 상상력의 원천은 물론 책이었으며, 아직도 많이 부족하긴하지만 문장력과 어휘력도 수많은 책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감히 말 할 수 있다.

I love book ! 앞으로도 영원히 이 마음 변치 않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