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감정을 읽는 시간 - 나를 휘두르고 가로막는 여덟 감정의 재구성
변지영 지음 / 더퀘스트 / 2019년 7월
평점 :
절판


회사 생활을 하다보면 여러가지 부분에서 자아와 상황의 상충이 너무 많다. 이때 소위 말해서 멘탈을 잘 붙잡지 않으면 바로 붕괴가 일어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보이지 않는 전쟁을 매일 하는 것이다. 지금 내 나이 서른 넷. 많다면 많은 나이에 조직생활에 대해서 하루하루 배워가고 있다. 순진하고 웃음많고 정 많던 내 모습이 꽉 짜인 큐브안에서 찌그러져 버린 느낌이다. 메말라 버린 감정과 잃어버린 웃음, 가장 큰 변화는 사람에 대한 기본적인 불신과 분노가 생겼다는 점이다. 내 앞에서 친절한 사람들이 상황에 따라 충분히 다르게 변하는 그 간사함에 이제는 질려버린 것 같다.

 

어쩌면 보이지 않는 멘탈 붕괴가 나도 시작되고 있는 것일까. 역시 나의 가장 친하고도 오랜 친구인 '책'을 통해서 멘탈에 대한 치유와 통찰력을 겸비하고자 든 책이 바로 이 책 <내 감정을 읽는 시간>이다. 그런데 너무 안타깝게도 책의 구성부터 내용까지 무얼 말하고자 함인지 기승전결이 모호했다. 책장을 넘기면서도 차례를 다시 찾아볼 수 밖에 없었던 것은 내용이 너무 뒤죽박죽이고, 하나의 감정에 대한 주변 사람들의 사례와 영화 소개가 거의 책의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저자의 해석은 너무 미흡하다. 그래서 내 감정을 어떻게 읽고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해서 아직도 혼란스럽다. 물론 몇몇 구절을 읽으며 그저 '자연스러움'에 나를 맡기자로 스스로 결론을 내긴 했지만 정말 저자가 말하고자 함이 이런건지 아직도 확신이 서지 않는다.

 

감정을 낱낱이 분해해보고 연구한다는 건 너무 어려운 일이다. 보이지 않는 것을 연구한다는 건 그게 어떤 것이든 그럴 수 밖에 없다. 학부 때는 심리학에 관심이 많았었지만, 그 후에는 그닥 관심이 가지 않았다. 무형의 어떤 것을 공부한다는 것 자체가 내 성격과는 맞지 않기 때문에. 그런데 일주일에 주 5일을 전사로써 전쟁터에 나가다보니, 심리학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소양이라도 알아야  중심을 잡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내 기본적인 성격은 매우 예민하고 소심하고 내성적인데 사실 밖에서는 이런 성격을 잘 표출하지 않는다. 그래서 오히려 혼자서 끙끙 앓는 적이 더 많다. 이런 성격일 수록 공부는 필수인 것 같다.

 

공부의 일환으로 읽어 본 책이 바로 이 책인데 그닥 도움은 되지 않고 혼란스러움만 남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