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적 사랑과 사회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까지의 한국 문학에서 그려지는 여성들의 도발은 기껏해야 '불륜' 정도에 불과했다. 그것은 이제 너무 식상해져 버려서 심지어 도발이라는 느낌마저 사라져 버렸다. 왜 현실과 달리 문학에서의 여성들은 아직까지도 한껏 움츠려져 있어야만 하는 걸까? 좀 더 당당해질 수는 없는걸까? 한국 사회가 그리고 한국 역사가 여성을 약자로 몰아세웠지만 현대에 이르러 여성은 예전의 그 여성이 아님을 말해줌에도 왜 문학에서만큼은 여성을 아직도 보호하려고만 하는 걸까?

  '낭만적 사랑과 사회'는 바로 그런 여성들의 도발을 아주 파격적으로 그려냈다. 더 이상 여성들은 예전의 문학속에서 그려진, 아니 문학뿐만이 아닌 현실에서 보여준 소극적인 한국의 여성상이 아님을 여실히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 책속에 나오는 여성들은 선하지 않다. 이들은 악함속에도 사회에 순응하려는 이해타산적이고 속물적인, 한마디로 철저히 사회화되었기에 어쩌면 이는 도발로 보기보다 현실에 적합한 여성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들 수도 있을테지만, 이를 '위장'이라고 생각해본다면 어떨까? 실제 책의 해설자는 이는 여성들이 현실에 타협하면서도 도발을 하는 것은 결코 순응이 아닌 반항이라고 했고, 이를 가능하게 했던 장치는 '위장'이라고 했다. '위장'으로 저항을 한 것은 아주 현실적인 도발이라고 말 할 수 있을까.

  우리가 이때까지 꿈꾸었던 낭만적 사랑이란건 당최 무엇일까? 동화속에서나 나올법한 '신데렐라 스토리'가 아닐까. 완벽한 왕자님이 나타나 그에 비해 무엇 하나 부족한 여자를 거두어주는 스토리. 아직까지도 대한민국 드라마에서는 그때그때 스토리만 바꾸었을 뿐이지 주 내용은 바로 이것이다. 이런 드라마를 수도 없이 방영해주면서, 그리고 여성들은 그런 드라마를 수도 없이 보면서 얼마나 많은 헛된 꿈을 꿀 것이며 또 얼마나 많은 좌절을 하겠는가? 진정한 낭만적 사랑은 아직까지도 이런 사랑임을 사회가 획책하고 있다.

  그럼 이 책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더 이상 여성이 남성에게 종속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은 세 살 먹은 어린애도 알 정도로 진부하기 짝이 없고 당연하다. 그럼 이 책은 여성이 어떻게 도발해야 하는가를 보여준걸까? 대한민국에서 여성들은 도대체 어떻게 도발을 해야 드센 여자라는 말보다도 현명하고 강한 여자라는 말을 들을 수 있는걸까? 대한민국에서 여성들이 낭만적 사랑을 꿈꾸기에 아직도 그들은 한없이 약해져야만 하는 아이라니하고 희한한 존재들이다. 언제쯤이면 여성들이 진정한 도발을 할 수 있을까.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